검색 상세

<숙향전>의 환상적 성격과 그 독자반응적 의미

A study on the fantastic in 'Sukhayngjeon' and its implication of reader-response

초록/요약

본고의 목적은 <숙향전>의 환상적 성격을 분석하고 독자에게 주는 의미를 찾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선 환상성의 정의를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그것은 ‘① 초현실적인 인물&#8228;배경&#8228;사건의 결합, ② 등장하는 인물과 독자가 그 초현실적인 사건을 처음 접했을 때 겪는 망설임, ③ ②의 망설임을 경험한 후 독자와 등장인물의 환상세계에 대한 믿음’이다. 이렇게 유형화하고 보면 환상성은 작품의 인물&#8228;배경&#8228;사건만으로 창출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실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Ⅱ장에서 환상적 성격을 분석했다. Ⅱ장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 차원에서는 환상적인 의미를 지닌 어휘들이 결합하면서 환상성을 창출하였다. 먼저, 비인간화(非人間化) 표지는 인간계에 존재하지 않는 화려하고 신비스러운 표지들로 환상적인 공간, 사건, 존재들과 결합하면서 <숙향전>의 환상성을 고조시켰다. 다음으로, 감각 표지에서는 <숙향전>의 등장인물이 느끼는 시각, 청각, 미각, 후각 등의 감각을 통해 환상성이 표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등장인물들이 느끼는 환상적인 감각은 <숙향전>을 접하는 독자에게도 전달되어 독자의 상상 속에서 감각을 자극받았다. 환상적 상황 전이의 부사어인 ‘문득’과 ‘홀연’은 급작스럽게 환상적인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을 때 문장의 앞에 쓰여 환상적 상황으로 전이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둘째, <숙향전>의 환상성은 모티프 차원에서도 발견되었다. 변신 모티프는 작중인물과 독자에게 환상세계를 겪게 하고 환상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하여 환상세계 자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다음으로, 예언 모티프는 그 자체로도 환상성을 충분히 지니며 뒤에 나오는 환상적인 사건에 대해 독자가 거부감 없이 친숙하게 받아들이도록 해 주었다. 동물 도움 모티프에서는 주인공을 돕는 동물들의 행동이 주인공인 숙향이나 이선을 돕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천상계와 지상계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계(異界) 체험 모티프에서는 인간계와는 다른 화려한 배경과 환상적인 존재가 등장해서 주인공들과 교섭하여 끊임없이 무한한 환상적 공간을 펼치고 있었다. 이로써 독자로 하여금 <숙향전>의 환상적 세계 안에 몰입하도록 만들었다. 셋째, 이야기 구성 차원에서 환상성은 먼저 주인공인 숙향과 이선의 비범한 출생에서 나타났다. 숙향과 이선이 이처럼 신비스러운 출생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이 천상계에서 죄를 짓고 인간계로 내려온 환상적 존재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들은 죽지 않고 승천했다. 결국, 숙향과 이선은 출생부터 승천까지 천정에 의해 지배받고 있었던 것이다. 환상성을 창출하는 이야기 구성 중 숙향이 고난을 겪고 구원을 받는 이야기에는 반드시 예언&#8228;고난&#8228;구원의 순서로 나타나며 이러한 패턴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이것 역시 숙향의 삶이 천상계에 의해서 이미 정해져 있는 것임을 알게 해 주었다. 또한, <숙향전>의 고난 극복 방식에서도 환상성은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초월적 존재에 의해서 구원을 받는 환상적 극복 방식을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필자는 Ⅱ장에서 이와 같은 <숙향전>의 환상적 성격을 발견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Ⅲ장에서는 환상성이 독자에게 주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숙향전>의 독자는 동일시와 거리두기를 동시에 경험하는 이원적 독서를 한다. 이때, 주인공인 숙향에게 감정이입을 하는 경우, 당대 독자는 숙향의 고통에 감정이입하여 카타르시스를 경험한다. 그 후, 독자는 숙향이 고통을 초월적 존재로부터 구원받는 것을 보며 희망을 갖는다. 또한 독자는 아름다운 세계를 상상하고 환상적인 감각을 자극받는 것을 통해 고통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독자는 환상을 통해 고통이 경감되고 중화되어 위안 받게 된다. <숙향전>의 독자가 거리두기를 경험하게 되는 것은 예언&#8228;고난&#8228;구원의 반복적인 구성 때문이다.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는 독자는 전지자적 위치에 놓이게 되어 예언을 들으면 그 이후에 고통이 나타나고 또다시 구원받으리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높고 먼 존재라 여겼던 전지자의 입장에 놓인 당대의 독자는 인물들이 고통을 겪는 것을 안쓰럽게 바라보기도 하고 그 인물들을 위로할 수도 있어 신선한 쾌감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이처럼 환상성으로 가득 차 있는 <숙향전>은 독자의 역할의 큰 작품이다. 독자의 적극적인 독서 행위를 요구하는 <숙향전>의 환상성은 독자의 삶에 큰 힘과 위안을 주었기 때문에 그토록 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졌으리라 생각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fantastic in 'Sukhyangjeon' and its implication to its readers. To do so, first of all I propose the following definitions of the fantastic: 1. combination of surrealistic characters, settings and incidents 2. hesitation occurred when the characters, as well as the readers, encounter the incidents for the first time 3. belief in the fantastic, which is arisen after the hesitation. I assume that the fantastic is not just revealed by the characters, settings and incidents but ultimately by its readers. In Chapter Ⅱ, with the above proposed assumption of the fantastic, I explore the features of the fantastic as follows: Firstly, from the viewpoint of discourse dimension, the fantastic is created with the integration of fantastical words. Combining with the fantastical beings, spaces and incidents, impersonal markers, which does not exist in the mortal world, develop the fantastic in 'Sukhyangjeon'. Also, the fantastic is exhibi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ensation that are expressed through the sense of sight, hearing, taste and smell of the character in 'Sukhyangjeon'. These fantastics felt by the characters in 'Sukhyangjeon' influence its readers in their imagination as well. The words, "Mundeuk" and "Holyeon" are placed before unfolding in the fantastic situations functioning to change its atmosphere. Secondly, the fantastic of 'Sukhyangjeon' is witnessed in the motif dimension. The motif of transforming enables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s well as the readers to experience the realm of the fantastic, and finally makes them believe in the fantastic. The motif of prophecy itself has enough fantastic and helps the readers accept the fantastical incidents, which are happening later, without awkward feeling. The motif of helping animals does not just show that the animals help Sukhyang and Yiseon, plays further as the bridge to connect between the heaven and the earth. In the motive of experiencing different realms, the main characters are interacting with the fantastical beings in the fantastic and splendid spaces. This motif makes the readers themselves immerse in the fantastical realm of 'Sukhyangjeon'. Thirdly, the fantastic in the dimension of story formation appears in the unique birth of the main characters, Sukhyang and Yiseon. The unique birth of Sukhyang and Yisoen was possible because they are the fantastical beings who had sinned in the heaven and come down to the earth. They are ascended without death. Therefore, the life of Sukhyang and Yiseon was controlled by the almighty. Among the motives that generate the fantastic, whenever Sukhyang suffers and saves, there is an order and the patterns are repeated; prophecy, suffering, and salvation. These patterns show us that the life of Sukhyang had been already determined by the heaven and the way the sufferings are overcome also indicates the fantastic of 'Sukhyangjeon'. The sufferings are overcome by the transcendent being. In ChapterⅢ, with the work to discover the fantastic of 'Sukhyangjeon' in chapter Ⅱ, I tried to find its implication to the readers. The readers of 'Sukhynagjeon' experience dualistic reading.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main characters in 'Sukhyangjeon' at the same time they also keep distance from the story. When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Sukhyang, the readers at that time might have experienced a kind of catharsis, and afterwards they might have had a hope when they saw that Sukhyang was saved from sufferings by the transcended being. Furthermore, imagining the beautiful space and experiencing the fantastical things the readers might be able to transit their sufferings to the beauty of life. Thus, the readers are given comfort by the fantasy and feel positive towards their sufferings. On the other hand, the readers of 'Sukhyangjeon' keep distance from the story. It is because of the repeating stories of the certain pattern. Once the readers feel the distance, they place themselves as omnipotent position, so they can imagine what will happen next. When they see the prophecy and sufferings, they can predict there will be salvation. Since the readers put themselves as omnipotent position, they might feel pity for the sufferings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nd sometimes they might feel proud that they can console the characters in the omnipotent position. The part of the readers is so significant in 'Sukhyangjeon' which is full of the fantastic. Since 'Sukhyangjeon' demands active participation, the fantastic of 'Sukhyangjeon' gives its readers great encouragement and fostering in their life. This is, I think, the reason why 'Sukhyangjeon' has been read by so many peop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