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지도사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인식과 소명의식,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Z세대 청소년지도사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인식과 소명의식,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성을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청소년 지도사는 청소년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성장과 변화를 이끄는 전문가로, 이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Z세대 청소년지도사는 낮은 직무 만족도와 불분명한 소명의식, 높은 이직의도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이 주로 조직 내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공식적,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Z세 대 청소년지도사의 소명의식,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성을 심도 있게 들여다보고자 표적집단면접법(Focus Guoup Interview) 방식을 사용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청소년지도사의 소속감과 직무만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신뢰 형성과 직무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인 커뮤 니케이션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Z세대 청소년지도사의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한 사내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청소년지도사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다 양한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비교 분석을 통해 청소년기관 또는 청소년 지도사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에 대한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 케이션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가 일조되길 바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 Youth Workers' perception of internal communication, sense of call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Youth leaders are experts who lead youth growth and change through youth activiti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to youth. However, Generation Z Youth Workers face problems such as low job satisfaction, unclear sense of calling, and high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believes that these problems mainly arise from inefficient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nd aim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internal communication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and the sense of call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Generation Z youth leader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ormal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youth leaders' sense of belonging and job satisfaction, while informal communic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rust formation and job performance.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contributes to lowering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internal communica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Generation Z youth leaders was emphasized. In future research, we will objective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by combin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argeting the field of youth leaders, and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to find effective solutions for public institutions that operate in a similar way to youth organizations or youth leader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al communication.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Ⅱ. 이론적 배경 6
1. Z세대 청소년지도사 6
1.1. 청소년지도사의 정의 6
1.2. Z세대 청소년지도사의 특성 9
2. 청소년기관의 특성 16
3. 사내 커뮤니케이션 24
3.1.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4
3.2.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27
3.2.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28
3.2.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32
3.3. 공공기관으로서 청소년기관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33
4. 소명의식 36
4.1. 소명의식의 정의 36
4.2 청소년지도사의 소명의식 39
5. 직무만족 41
5.1 직무만족의 정의 41
5.2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43
6. 이직의도 46
6.1 이직의도의 정의 46
6.2 청소년지도사의 이직의도 48
Ⅲ. 연구 문제 51
1. 연구 문제 51
Ⅳ. 연구 방법 52
1. 연구 방법 52
2. 연구 참여자 52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방법 54
3.1. 데이터 수집 54
3.2. 데이터 분석 55
4. 연구의 윤리성 57
Ⅴ. 연구 결과 58
1. Z세대 청소년지도사가 인식하는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61
1.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긍정적 영향 61
1.2.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부정적 영향 68
1.3. 그룹별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분석 71
2. Z세대 청소년지도사가 인식하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73
2.1.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긍정적 영향 73
2.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부정적 영향 78
2.3. 그룹별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분석 81
3. Z세대 청소년지도사의 소명의식에 대한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85
3.1. 소명의식을 높이는 긍정적 영향 85
3.2. 소명의식 낮추는 부정적 영향 88
4. Z세대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90
4.1. 직무만족을 높이는 긍정적 영향 90
4.2. 직무만족을 낮추는 부정적 영향 91
5. Z세대 청소년지도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94
5.1. 이직의도를 낮추는 긍정적 영향 94
5.2. 이직의도를 높이는 부정적 영향 95
Ⅵ. 결론 및 논의 97
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97
1.1. 이론적 의의 97
1.2. 실무적 함의 101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3
참고문헌 10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