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입학정원 모집유보제 정책집행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초록

본 연구는 입학정원 모집유보제 정책집행 실태를 살펴보고, 정책의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입학정원 모집유보제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23학년도 입시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이 정책의 시행 첫해에 일부 대학은 입학정원 충원율이 높아졌으나, 일부 대학은 오히려 낮아졌으며, 변화가 전혀 없는 대학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입학정원 유보제의 집행과정에 대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학정원 모집유보제 정책집행의 특징과 현장 반응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로는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의 정책 자체 변인, 집행기관 및 집행자 변인, 집행대상 집단 변인, 환경 변인의 특징과 문제점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의 정책집행 모형을 검토하여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에 맞는 정책집행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육정책 서적과 학술지 및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에 관한 교육부 자료, 각종 공청회 자료, 신문 기사 등을 통해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문헌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oombs(1980)의 불순응 이론을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진행하였다. 의사소통 관련 불순응, 자원 관련 불순응, 정책 관련 불순응, 행위 관련 불순응, 권위 관련 불순응 등을 통해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에 대한 참여대학의 태도 및 인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자체 변인으로 정책의 목표 자체는 명확하고 일관되었으나 모집유보제가 해제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아, 교육부에서 이를 명시하고 대학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책임자인 교육부 장관의 리더십은 정책이 원활하게 집행되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교육부 장관의 과감한 규제혁신 추진 과정에서 모집유보제가 추진되었으므로 정책책임자의 지도성이 정책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정책대상 집단인 대학의 불순응은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의 집행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의사소통 관련 불순응과 정책 관련 불순응인 목표 불순응과 신념 불순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변인의 하위 분석 요인으로 사회적 상황과 언론 및 대중의 관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의 위기라는 사회적 상황과 언론 및 대중의 관심 속에서 정부는 정책을 제정하고 재정지원을 통해 정책집행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다음은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의 정책집행 과정을 분석하여 내린 결론이다. 첫째,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의 해제 시점까지의 대책을 마련하여 모집유보제에 대한 목적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이는 3년 후 모집유보가 끝나는 시점에 수도권 대학 모집인원의 증원으로 지방대학의 입시환경은 더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전체 대학이 상생할 수 있는 교육부 주도의 정원 정책이 필요하다. 즉 모집유보제와 같은 정원 운영에 대하여 수도권 대학과 지역대학의 정책을 달리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부에서 충원에 어려움이 지속되는 지역대학과 수도권 대학의 정책을 달리하여 전체 대학이 상생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입학정원 모집유보제는 2023년 입시에 처음 시행되어 집행실적이 많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면접조사 시 참여대학 15개 중 5개의 대학을 지역별로 샘플링하였으나 표본집단이 크지 않아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후 정책집행의 추이와 문제점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보완해야 하며, 더 많은 수의 참여대학을 포함하여 논의 및 개선점을 점검해보아야 할 것이다. 주제어 교육정책 집행과정, 입학정원 모집유보제, 교육정책, 정책 불순응, 학령인구 감소

more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and analyzes the policy's features and problems.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response to the crisis in universities due to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starting with the 2023 entrance examination, but there has been no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s implementation and field reactions, and to draw implic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policy itself, policy implementer, policy target group, and policy environment variables of the admission quota system?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models of policy implementaion and applied the models to analyze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For this study, it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through educational policy books and journals, Ministry of Education data on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various public hearings, and newspaper articles. In addition,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using Coombs' (1980) policy noncompliance theory. It analyzed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participating universities toward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through communication-oriented noncompliance, resource-oriented noncompliance, policy-oriented noncompliance, behavior-oriented noncompliance, and authority-oriented noncompliance. The specific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olicy itself, while the goals of the policy were clear and consistent, information about when the policy would be lifted was not clearly communicated, suggesting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clarify this and allow universities to prepare in advance. Second, the leadership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policy, had some impact on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Since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was promoted in the course of the Minister of Education's bold regulatory innovation drive,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policy may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olicy to some extent. Third, the noncompliance of the target group of universities affec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In particular, communication-oriented noncompliance and goal-based noncompliance and belief-based noncompliance, which are and policy-oriented noncompliance, stood out. Finally, the sub-analysis of environmental variables focused on social conditions and media and public attention. Under the social situation of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university crisis, the government enacted policies and provided financial support to facilitate policy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by analyz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by preparing measures until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is lifted. Second, sinc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cruitment quota for metropolitan universities may make the admission environment for regional universities more difficult when the reservation ends in three years, it is necessary to have an education ministry-led quota policy that can be mutually beneficial to all universiti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operate different policies for metropolitan universities and regional universities. Fi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come up with a mid- to long-term plan for the mutual benefit of all universities by differentiating the policies of regional universities and metropolitan universities. The admission quota reservation policy was first implemented for the 2023 entrance examination,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does not have much track resul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dentify trends and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 addition, five of the 15 participating universities were sampled by region during the interview,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more

목차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대학 입학정원 모집유보제 배경 및 개요 4
2. 교육정책집행의 개념 및 의의 9
3. 교육정책집행 과정의 이론적 모형 10
4. 선행연구 분석 18
Ⅲ. 분석의 틀 및 연구의 방법 22
1. 분석의 틀 22
2. 연구의 방법 23
Ⅳ. 대학 입학정원 모집유보제의 정책집행 과정 분석 27
1. 정책 변인 분석 27
2. 집행기관 및 집행자 변인 분석 32
3. 정책대상 집단 변인 분석 34
4. 환경 변인 분석 41
Ⅴ. 요약 및 논의 44
1. 요약 및 결론 44
2. 논의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