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uppor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을 예측함에 있어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513부의 자료를 SPSS 29.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version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지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함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upport in predicting speech anxie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or this purpose,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513 copies of the data were fin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9.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4.2.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nfirm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nfirmed.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8
1. 사회부과 완벽주의 8
1)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개념 8
2. 발표불안 11
1) 발표불안의 개념 11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 13
3. 내면화된 수치심 15
1) 내면화된 수치심의 개념 15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 16
3)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 17
4. 사회적 지지 19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9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24
3)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25
4) 사회적 지지와 발표불안의 관계 26
5. 사회부과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지지, 발표불안의 관계 27
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27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28
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지지의 순차적 매개효과 29
III. 연구문제 및 방법 32
1. 연구문제 및 가설 32
2. 연구모형 33
3.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3
2) 측정도구 34
(1) 사회부과 완벽주의 34
(2) 내면화된 수치심 35
(3) 사회적 지지 36
(4) 발표불안 37
4. 분석방법 38
IV. 연구결과 40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0
2.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3
3. 매개효과 분석 45
4. 추가 분석 48
V. 논의 및 제언 59
1. 결과 및 논의 59
2. 연구의 의의 64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7
참고문헌 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