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여성인물의 여정(旅程) 성장담 연구 : -<바리공주>, <숙향전>, <심청전>의 크로노토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 Focusing on Chronotope Analysis of “Princess Bari”, “Sukhyangjeon”, and “Shimcheongjeon”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바흐친의 ‘크로노토프(chronotope, 시공간)’ 개념을 활용하여 <바리공주>, <숙향전>, <심청전>을 대상으로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의 구조와 의미, 그리고 여성인물의 존재론적 성장 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이란 여성인물이 길을 떠난 후의 여정을 통해서 통과 의례를 거쳐 더 나은 존재로 성장하는 과정이 드러나있는 이야기를 뜻한다. 본고에서는 서사무가 <바리공주>와 고전소설 <숙향전>, <심청전>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분석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미시적 크로노토프, 거시적 크로노토프, 그리고 장르적 크로노토프로 범위가 확장되는 크로노토프 체계를 고안하여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을 체계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바흐친의 크로노토프란 문학작품 속에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 사이의 내적 연관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흐친에 따르면 문학예술 속의 크로노토프에서 시간은 부피가 생기고 살이 붙어 예술적으로 가시화되고 공간은 시간과 플롯, 역사의 움직임들로 채워진다고 하였다. 또한 시간과 공간이 융합되어 예술적 크로노토프를 형성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문학 예술적 크로노토프는 인간 형상(image)을 구체화하는 데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며, 문학 작품의 장르와 장르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고전문학연구 중에서 시간과 공간을 함께 고려한 논의나 크로노토프 개념을 활용하여 고전소설을 분석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지속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달리 현대소설과 현대시, 현대희곡 등 현대문학에서는 크로노토프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경향의 원인이 고전소설의 장르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고전소설 연구에도 적용 가능한 크로노토프 분석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미시적 크로노토프, 거시적 크로노토프, 장르적 크로노토프 순으로 세 단계의 크로노토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크로노토프의 체계는 미시적 크로노토프에서 장르적 크로노토프로 이어질수록 작품 내적 범위에서 작품 외적 범위로 확장된다. 첫 번째로 ‘미시적 크로노토프’에 해당하는 작품의 요소로는 인물, 상황, 사건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미시적 크로노토프를 분석한다는 것은 시공간이라는 테두리 안에 존재하는 인물이 어떠한 상황 속에서 어떠한 선택과 행위를 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가리킨다. 두 번째로 ‘거시적 크로노토프’에 해당하는 작품의 요소는 시공간 그 자체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거시적 크로노토프는 인물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공간적 배경이며 인물이 겪는 상황과 사건의 토대가 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시공간은 인물의 행위의 근거가 된다. 거시적 크로노토프에는 집의 크로노토프, 문턱의 크로노토프, 길의 크로노토프가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로 ‘장르적 크로노토프’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시대 상황과 이념, 역사 등이 있다. 장르적 크로노토프는 작품의 장르를 규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크로노토프 분석틀을 통해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을 본론의 2장과 3장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2장에서는 <바리공주>, <숙향전>, <심청전>의 공통적인 주요 사건으로 ‘버려짐’, ‘길을 떠남(죽음)’등의 미시적 크로노토프가 있다고 보고, 이러한 미시적 크로노토프가 어떻게 여성인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는지를 고찰해보았다. 또한 각 작품의 여성인물들의 여정을 집의 크로노토프(일상적 시간, 내부 공간), 문턱의 크로노토프(위기적 시간, 경계 공간), 길의 크로노토프(모험적 시간, 외부 공간)와 같은 거시적 크로노토프로 분류하여 각 시공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이에 따라 바리공주의 여정은 ‘성(城)의 크로노토프’와 ‘구원의 크로노토프’사이의 왕복으로, 숙향의 여정은 ‘기억의 크로노토프’와 ‘보은의 크로노토프’등의 두 가지 길로, 심청의 여정은 ‘동냥의 크로노토프’와 ‘죽음의 크로노토프’등의 두 가지 시공간으로 정리하였다. 한편 본고에서는 여성인물이 주체적 결단을 내리는 장면에서의 ‘문턱의 크로노토프’가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에서 가장 중요한 거시적 크로노토프이자 성장담의 장르를 특징지어주는 장르적 크로노토프가 된다고 보았다. 3장에서는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에 내재된 서사 구조를 살펴보고, 서사 구조를 고려하여 신성 관념과 세속 관념이 어떻게 작품 속에 반영되었는가를 관찰함으로써 작품의 핵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바리공주>에서는 ‘영혼 천도의 크로노토프’를, <숙향전>에서는 ‘천상 원리 실현의 크로노토프’를, <심청전>에서는 ‘치유의 크로노토프’라는 장르적 크로노토프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미시적 크로노토프와 거시적 크로노토프를 살펴보고 각 작품의 장르적 크로노토프의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세 작품에 내포되어있는 크로노토프들을 관찰함으로써 문학작품 내외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두루 살펴볼 수 있었다. 서사무가와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크로노토프적 연구를 함으로써, 시공간을 포함한 작품의 미시적 요소와 거시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총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고, 장르적 특성 또한 규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에서 주목해야할 내용으로는 여성인물이 삶의 분기점에서 주체적 결단을 내리고 위기를 받아들였다는 점과 여성인물들 모두 타인을 구원하고 도움으로써 자신을 구원, 치유할 수 있었다는 점이 있다.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의 가치가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and the process of ontological growth of the female characters in “Princess Bari”, “Sukhyangjeon”, and “Shimcheongjeon”, using the concept of 'chronotope' of Bakhtin. Here, journey growth-story of a female character means a story in which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better being through a rite of passage after the female character leaves the road. The author thought that this study requires an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which we can examine collectively the narrative shamanic lyrics, “Princess Bari” and the classic novels, “Sukhyangjeon” and “Shimchungjeon”. And the author tried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using the chronotope system that extends the range into micro chronotope, macroscopic chronotope, and genre chronotope. The chronotope of Bakhtin means an inner connection between time and space artistically expressed in literary works. According to Bakhtin, in the chronotope of literature and art, time has a certain volume and some flesh is attached to it and then it becomes visible artistically, and space is filled with time, plot, and the movement of history. He also said that time and space are fused to form an artistic chronotope. These literary artistic chronotope has an absolute impact on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image and serve as an element in determining the genre of a literary work and the generic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found that in the existing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a discussion analyzing classic novels using the concept of chronotope or a discussion taking time and space together has been hardly conducted. On the contrary, researches using chronotope have been active in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modern novels, modern poetry, and modern play.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ed to establish a chronotope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classical novels, considering that the causes of these research trends are relat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novels. In this article, three levels of chronotopes were set up in the order of microscopic chronotope, macroscopic chronotope, and genre chronotope. As the system of chronotopes leads from micro chronotrope to genre chronotope, it extends from the internal scope of the work to the external scope of the work. First, there are characters, situations, and events as elements of the work corresponding to the 'microscopic chronotope'. Analyzing the microscopic chronotope according to these elements indicates examining what kind of character exists in the boundary of time and space, what kind of selection and action the character performs in what situation, and how the character changes. Second,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element of the work corresponding to the 'macroscopic chronotope' is to form the time and space itself. This macroscopic chronotope is time and space backgrounds that have a profound impact on a character and is the basis of the situations and events that the character experiences. Furthermore, this time and space is the basis of the action of the character. The macroscopic chronotope includes chronotope of the house, chronotope of the threshold, and chronotope of the road. Third, the element that makes up the 'genre chronotope' includes situation, ideology and history. Genre Chronotope has a function to define the genre of the work. Through this chronotope analysis framework, the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is systematically examined in Chapters 2 and 3 of this article. In the second chapter, it is judged that there are microscopic chronotope such as 'being abandoned' and 'leaving the road (death)' as common major events of “Princess Bari”, “Sukhyangjeon” and “Shimchungjeon”. And it was also examined how this microscopic chronotrope became the chance for female characters to grow. In addition, the journeys of the female characters of each work was divided into macroscopic chronotope such as chronotope of the house (everyday time, internal space), chronotope of the threshold (crisis time, boundary space), chronotope of the road (adventurous time, external space), and the meanings of each time and space were analyzed. Accordingly, the chronotopes were organized as follow: the journey of Princess Bari, a round trip between 'chronotope of the castle' and 'chronotope of the salvation'; the journey of Sukhyang, two ways of 'chronotope of the memory' and 'chronotope of the gratitude'; the journey of Shimcheong, 'chronotope of the begging' and 'chronotope of the death'. In the meantime, in this article, the author thought that 'chronotope of the threshold' in the scene where the female character makes an independent decision is the most important macroscopic chronotope in the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and become genre chronotope which characterizes the genre of growth-story. In Chapter 3, the narrative structure embedded in the journey growth-story of the female characters was examined, and the core theme of the work was derived by observing how the divine idea and secular idea were reflected in the work considering the narrativ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genre chronotopes such as 'chronotope of the transfer of soul' in “Princess Bari”, 'chronotope of the realization of heavenly principle' in “Sukhyungjeon”, and 'chronotope of the healing' in “Shimcheongjeon” were derived.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common microscopic chronotope and macroscopic chronotope appearing in the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genre chronotopes of each work could be derived. In addition, the author could examine the various elements of the literary works by observing the chronotopes contained in the three works. Through the chronotope study with the target of narrative shamanic lyrics and classical novels, it was possible to interpret generally the works corresponding to 'the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considering both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elements of the works including time and space and to confirm that the genre characteristics could be investigated. It is also noteworthy that in the ‘journey growth-story of the female characters’, the female characters made independent decisions at the turning point of life and embraced the crisis, and they could save and heal themselves by saving and helping other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value of 'journey growth-story of female characters' is reveal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