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단 쓰기 활동 교육 방안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존의 문단 단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국어과 교육 내용의 학습 활동을 검토하고, 인지 과정으로의 읽기와 쓰기를 기반으로 한 문단 쓰기 활동의 교육적 효용성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중학생 학습자들의 문단 쓰기 활동 결과물을 바탕으로 필자의 문단 단위 의미 구성을 위한 문법 표현 요소를 찾고, 이에 기반한 읽기와 쓰기 지도 방안 개선을 위한 문단 단위 쓰기 활동의 재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이 되는 ‘문단 쓰기’의 위상을 살피기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검토하고, ‘의미 구성’과 관련된 각 영역별 연구 성과에 따른 교육 내용 요소들의 포함 여부를 확인하였다. 관련 연구들을 통해 읽기 과정과 쓰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언어 활동’에 필요한 ‘문법 요소’등의 의미기능에 따라 텍스트를 통한 의미 구성이 가능할 수 있음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에도 현행 교과서 및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활동의 요소가 총체적인 ‘언어 활동’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의미 구성의 단위로 문단을 규정하고 문단 쓰기 활동을 재구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을 선정하여 문법 영역, 읽기 영역, 쓰기 영역의 교육 내용이 종합적으로 다루어지는 ‘문단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3년의 학제로 이루어진 중학생 학습자들을 각 학년마다 한 명씩 선정하여 문법 표현 요소들을 교육하고, 요약하며 읽기 활동을 통한 문법 요소의 의미기능을 탐구하도록 하여, 문단 단위의 의미 구성이 가능한 쓰기 전략을 제공할 수 있는 ‘문단 쓰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문단 쓰기 활동’의 과정과 결과물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활동 수행에 따른 의미 구성의 단위로서의 문단 단위 인식을 기반으로 한 교육 내용 재구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되는 문법 요소의 표현 기능에 따른 지도 방법에 있어서 상세화된 내용의 의미기능에 따른 문법 요소 교육 내용 재구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텍스트의 의미 구성을 위한 문법 요소의 의미기능을 탐구하는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문단 쓰기 활동으로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문단 쓰기 활동에서 발견되는 교육 내용 요소들을 통해 교육 내용 및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활동 과정 및 결과에서 발견된 교육 내용 재구조화의 필요성에 따라 현행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히고, 문단 단위 인식 및 쓰기 학습 활동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본고에서는 ‘의미 구성’과 ‘문단 단위’의 연계를 통한 ‘문단 쓰기 활동’에 필요한 통합적 국어 교육 내용 요소의 발견을 통해 총체적 언어 활동을 위한 문법 요소의 의미기능에 따른 학계의 연구 논의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의미 구성’에 집중한 문단 쓰기 활동의 내용에서 발견되는 교육 요소들을 통해 문단 단위의 쓰기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였을 때의 교육적 효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읽기 및 쓰기 활동 지도 방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총체적 언어 활동 도구로서의 국어과 목표 설계에 기여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formed based on recognition of existing paragraph units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paragraph writing activity based on reading and writing as a cognitive proces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the author tried to find grammatical expression elements for the semantic composition of paragraph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 writin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restructuring the paragraph unit writing activities to improve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of all,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status of 'paragraph writing', which was the core concept of this study, and it was also confirmed whether the elements of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y area related to 'semantic composition' are included. Through the related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semantic composition through text could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semantic function of 'grammatical element' necessary for 'language activities' us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process. Even if it i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lements of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and curriculum do not specifically reflect the process of the whole 'language activity'. In this study, a paragraph was defined as a unit of semantic construction,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reconstruction of paragraph writing activities, and the 'paragraph writing activity,' in which the contents of grammar area, reading area, and writing area were comprehensively handled, were suggested. By selecting one student for each grad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he three years of studying system, training the elements of grammar expression, and exploring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grammatical elements through the summary reading activities, the 'paragraph writing activities' which can provide a writing strategy capable of semantic construction in paragraph uni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paragraph writing activity' and analysis of the result,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contents based on paragraph unit recognition as a unit of the seman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learners' activities was confirmed.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grammatical element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 of detailed contents in the teaching method depending on the expression function of the grammatical element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paragraph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activities of exploring the meaning function of the grammatical elements for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he tex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textbooks through the education content elements found in the paragraph 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study shows the problems in current textbook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educational contents found in activity process & result and discusses improvement directions of education contents for paragraph unit recognition and writing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also supports the discussions of academics on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grammatical elements for whole language activitie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contents elements of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necessary for 'paragraph writing activities' by linking 'semantic composition' and 'paragraph unit'.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s the educational usefulness when the writing activity of paragraph unit is reconstructed through the educational elements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paragraph writing activity focused on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he learner.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ake more effective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teaching method,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ibute to designing the goal of Korean language course as a whole language activity too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