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행복감 및 수업태도에 관한 연구 : 혼성 중학교와 단성 중학교 비교

How different types of middle school can affect happiness and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comparison between single-sex middle school and mixed-sex middle school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 수업에서의 행복감과 수업 태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특별시 5개교 중학교 800명의 중학생에게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그 중 응답하지 않은 자료와 불성실 응답자 설문지 38부를 제외한 762부가 본 연구결과 분석에 이용된 유효표본으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학생 행복도를 연구한 결과 친구와의 상호작용, 신체활동 혜택, 교사와의 상호작용, 심리적 혜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학생 수업태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행복감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친구와의 상호작용, 신체활동 혜택, 교사와의 상호작용, 심리적 혜택 모두 1학년이 2학년,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에 따른 체육수업에서의 수업태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태도의 하위요인인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능동적 참여와 수행, 대인관계 모두 1학년이 2학년, 3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수업에서의 행복감과 수업 태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체육수업에서 행복감이 수업 태도 모든 하위요인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능동적 참여와 수행, 대인관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중학생 체육수업태도 및 학교행복감을 살핀 최초의 국내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국내 중학생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유익한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체육수업 행복감 증진을 통해 학생들이 더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길 바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ifferent school types can influence student’s happiness and attitud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00 students in 5 different middle schools in Seoul city. Excluding 38 incomplete questionnaires, a total of 76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23.0, Duncant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First, result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 level between colleagues, degree of benefici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teraction level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neficial influence on mental health. Secondly,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student’s attitude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depending on school types. Thirdly,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clearly effected by different grade levels. Levels of interaction with colleagues, benefici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psychological benefits were all higher in the first grade compared to second and third grade. Fourthly, attitud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also influenced by different grade levels. Sub-factors for attitudes such as health, physical strength, positive mentality, negative mentality,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l resulted highest in the first year students than second and third year. Fifthly,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happiness and attitud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inally, happiness in class influences in all the sub-factors in class attitudes (health, physical strength, positive mentality, negative mentality,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believes this study is purposeful as it is the first internal investigation on student’s attitudes and happiness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to improve futur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in Korea. Researcher concludes that students will have a more valuable experience in school life by improved happiness level in physical education cla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