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동호인의 참여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ng rate of marathon members and physical self -concep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대혁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26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마라톤 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월 참여비용과 참여정도인 종목, 경력, 완주횟수, 최고기록, 풀 코스 대회경험, 훈련횟수, 훈련거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통해 마라톤 운동의 보다 높은 참가와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마라톤 동호인200명, 경기도 마라톤 동호인 200명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로는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설문지를 이용하여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였고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tukey test를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a=.05로 하였고, 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크게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자기존중감, 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존중감에서는 여성이 높게 나타나고 지구력요인에서는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대학원이상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에 따라서는 기타직업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체적으로 정적인 직업을 가지 다른 직업군에 비해 동적인 직업을 가진 기타직업이 전반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라톤의 월 참여비용에 따라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유연성, 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10만원 이하의 경우 유연성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30만원 이상의 경우 지구력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마라톤 참여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참여종목에 따라서는 20km, 42.195km에 참여한 경우 5km, 10km에 참여한 경우 보다 전반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1-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집단이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마라톤 풀코스 대회 경험이 있는 집단들이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외모를 제외한 9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완주횟수, 주당 훈련거리, 주당 훈련횟수가 많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라톤 최고기록에 따라서는 기록이 빠를수록 (3시간 30분미만)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외모, 자기존중감, 건강을 제외한 7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에서 연령에서는 20대, 학력에서는 대학원이상, 직업군에서는 기타직업, 월 참여비용이 많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마라톤 참여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에서는 20km, 42.195km 종목에 참여한 집단과 1년-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집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서 높게 나타났고, 완주 횟수, 주당 훈련거리, 주당 훈련횟수가 많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풀 코스 마라톤 경험이 있고, 마라톤 최고기록(3시간 30분미만)이 빠를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마라톤에 참여정도는 신체적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rship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factors the between participation level the degree of involvement which includes events, marathon career, the number of complete runs, experience on full-course, frequency of training, and distance for training and physical self-concept.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400 subject which were 200 number of a seoul marathon club and 200 members from Seongnam club. PSDQ was used to measure physical self-concept and t-test, One-way ANOVA, and the tukey post-hoc test vis SPSS 20.0 program and significance revel was set at a=0.5 The summary of discus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an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endurance of male subjects and those of female subjects. the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sex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Female participants show higher self-esteem, while male participants show higher sustaining power. According to age,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show higher physical self-concept and high graduate degrees show higher physical self-concept.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who have active occupations show higher physical self-concept than that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sedentary jobs. According to monthly expense, participants who spend 100,000 and less show higher flexibility, especially, participant with than 300,000 show higher sustaining power. These two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a marathon and physical self-concept show several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the events, the participants who run 20km and 42.195km show higher physical self-concept than the participants who run 5km and 10km. When comparing marathon careers, those who have between 1 and 3 years of experience show higher physical self-concept. Also,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 in full-course show significantly higher in 9 physical self-concept factors except for appearance. The more complete runs, the longer the training course, and the more training sessions all correlate to physical self-concept. With regards to records, the participants who have better records (shorter than 3 hours and 30 minute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elf-concept in seven sub-factors aside from appearance, health,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 participants of twenties, high degrees, active occupations, and spend more money show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the participants who run 20km or 42.195km and those who have between 1 and 3 years of experience show higher physical self-concept. Also, having more complete runs, longer training courses, and more training sessions is correlated to physical self-concep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ore actively in marathons is positively correlated to physical self-concep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