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과 작문 교과 지도 방안 : 법과 정치와의 교과 통합을 중심으로
Instruction of Teaching Method on Speeching and Writing of Both Fields of Law and Politics
- 주제(키워드) 교과 간 통합 , 화법과 작문 , 법과 정치 , 판례를 통한 작문 교육 , 설득 담화 , 논점 제시 , 이익 교량 , 입증 책임 , Curriculum integration of Law and Politics , Speech and Writing , Law and Politics , Writing education through Case Law , Persuasive conversation , To suggest arguing points , Profitbridge , The burden of proof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경수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50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습자가 직면하는 실제 담화상황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의 화법과 작문 역량 중에서, 설득적 의사소통 능력이 국어과 교과 과정 내외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학생들의 설득적 화법과 작문 능력을 증진해야할 의무가 있는 2011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화법과 작문 교과서는, 구체적인 설득의 상황맥락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고는 설득적 화법과 작문 능력의 실질적인 증진을 위해, 법과 정치 교과와의 교과 간 통합을 제안하고 그 통합 방안을 다양하게 시도하였다. 기존 국어과 교육에서 불문율로 여겨졌던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 내용은 주로 ‘주장과 근거의 이원적 체계’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주장과 근거’를 어떻게 설득적으로 제시할 것인지에 관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없었다. 또한 ‘논리적인 주장과 타당한 근거’라는 국어과의 설득 단원의 목표가 국어과 혼자만의 진공 상태에서 주장되어, 그것을 실제적 맥락에서 실현시키기 어려웠다. 더 나아가서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설득적 화법과 작문에서는 ‘이익’, ‘비용’의 산정, ‘입증 책임’, ‘이익 교량’ 등의 생소한 단어들이 제시되었는데, 학습자가 이것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예문과 학습활동이 제시되지 않아, 실제 설득적 담화가 사용되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을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적 담화 능력의 향상을 위해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 과목 중, 법과 정치 교과와의 통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법과 정치 교과에서는 설득적인 상황을 상정하고, 화법과 작문 교과에서 제시된 핵심 단어들을 학습활동을 통해 적절히 설명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작문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이에 본격적으로 Ⅱ장에서는 화법과 작문 교과의 설득 단원과 법과 정치 과목의 통합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을 논증해 보았다. 특히 설득적 담화의 종류와 교육 과정 하의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법과 정치 교과와 ‘설득’을 공통점으로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을 세밀하게 분석해 보았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득 전략으로는, ‘논점 제시하기’ 와 ‘이익교량’, ‘이해 당사자의 입장 모두 고려하며 설득하기’ 등이 제시되었는데, 법과 정치 교과를 살펴보면, 그 상황에 따라 설득적인 담화 도구와 전략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상대방에게 납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국어과 화법과 작문 교과에서 학습하는 핵심 전략들이 중추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화법과 작문 교과서에 제시된 설득 전략을 법과 정치 교과의 법률 텍스트 및 학습활동에 적용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주요 대학의 논술 고사에서 요구하는 설득적 담화 능력을 분석함으로써,설득적 담화 학습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논점 제시’, ‘입증책임’, ‘이익교량’ 등의 논거 제시 방법들이, 결과적으로 설득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화법과 작문 교과와 법과 정치 교과와의 통합의 실제를 보여주며 교과서 재구성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법과 사회 교과에서 학습하는 법률을 논거로 하는 담화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설득력을 증진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였다. 두 번째로 화법과 작문 교과에 제시된 화법 영역 중 특히, 연설문 및 선언문을 통해 화법 교육을 시도하고 법과 정치 교과에 제시된 내용으로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작문 교육을 위해, 법과 정치 교과에 나온 사례를 갖고 화법과 작문 교과의 설득적 개념인, ‘상대방의 논거 인정하며 설득하기’, ‘이익교량’, ‘이해 당사자의 입장 모두 고려하는 전략’ 등을 이용하여, 총체적 작문 활동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록 부분에서는 통합의 결과로써, 법과 정치 교과를 통합하여 통합형 논술 문제를 출제·예시하였다. 여기서 나아가서 이와 같은 통합적 지도 방법에서 설득적 결과물을 평가해야 하는 평가의 척도를 제안하였으며, 교수자의 지도 전략에 대해 제안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는 설득적 화법과 작문 교육을 위해. 구체적인 발화 상태를 상정함으로써 설득적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 설득 담화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 작문 교육, 교과 간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more초록/요약
According to this study, an ability to make persuasive 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national language courses, out of speeches and writing of various purposes needed in actual conversation faced by learners. Nevertheless, speech and writing textbooks under the 2011 revised national language courses that had to improve students' persuasive speech and writing abilities doesn't acquire detailed situation contexts of persuasion. In this study, curriculum integration of law and politics was proposed and various integration ways to actually improve persuasive speech and writing abilities were tried. Cont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that was considered as an unwritten law in existing national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about `a binary system of assertion and base.' However, there was no logical and systematical approach toward how to persuasively suggest `Assertion and base.' Besides, `Logical assertion proper base,' the goal of the persuasion unit of the national language course, was maintained in vacuum of the national language course alone, so it was difficult to be realized in the actual context. Moreover, unfamiliar words, such as calculation of `Profits' and `Costs,' `Burden of proof' and `Profit bridge,' were suggested in persuasive speech and writing under the 2011 revised curriculum.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were no suggestions of sample sentences an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which learners could study about it, so learners couldn't understand situations using actual persuasive conversation. Considering this, the researcher tried to suggest integration of courses related to law and politics, out of optional subjects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courses, to improve the persuasive conversation ability. As this study can introduce persuasive situations about law and politics courses and can properly explain suggested key words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bout speech and writing course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tual writing ability. For this, there were effort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persuasive units of speech and writing courses and integration of law and politics subjects and to prove the possibility in Chapter II. An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parts where the law and politics courses and `Persuasion' could commonly contact through analyzing kinds of persuasive conversations and educational parts under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As persuasive strategies in the national language courses, `To suggest arguing points,' `Profit bridge' and `To persuade in consideration of positions of all interested parti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law and politics courses, people essentially should make others understand their opinions and solve problems through persuasive conversation tools and strategies depending on situations.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key strategies that are learned in national language speech and writing courses could take pivotal roles. In Chapter III, persuasive strategies suggested in speech and writing textbooks were applied to law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law and politics courses. First of all, the direction of persuasive conversation learning was established through analyzing the persuasive conversation ability required by writing tests of important universi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ays to suggest grounds of arguments, such as `Suggesting arguing points,' `Burden of proof' and `Profit bridge,' was making a contribution toward persuasively solving problems. In Chapter IV, the reality of integration between speech and writing courses and law and politics courses was shown and a plan to reorganize textbooks was deduced. First, it was proved that leaners' persuasive ability could be improved through conversation education based on law learned in law and social studies courses. Second, speech education was attempted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reorganized with parts suggested in law and politics courses through speeches and statements, out of speech areas suggested in speech and writing courses. After it, for writing education, overall writing activities were attempted with cases appearing in law and politics subjects using `Persuading by accepting grounds of other parties,' `Profit bridge' and strategies considering positions of all interested parties' which were the persuasive concept of speech and writing cours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