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 of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초록/요약 도움말

이 연구는 텍스트의 의사소통적 기능을 높이기 위한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에 주목하여, 작문에서 의문문을 표현 기법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의 논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먼저, 문어 텍스트를 분석하여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의 기능을 확인하고, 다음으로는 의문문을 작문 과정에 활용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신문 칼럼을 분석하여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의 기능과 표현 효과를 알아보았다. 신문 칼럼에서 의문문은 화제 제시 혹은 화제 전환, 필자의 의견 강조, 대상에 대한 비난 표현, 대상에 대한 추측, 흥미 있는 내용 제시, 새로운 해결책 제안, 실천적 행동을 촉구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렇게 사용된 의문문은 독자를 텍스트 안으로 끌어들여 참여를 유도하고, 텍스트에 집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독자들은 필자가 의문문을 사용하여 강조한 의견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의문문을 사용함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의 수행성을 약화시키고 공손함을 표현하여 독자를 존중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표현 기법에 관한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을 작문 과정에서 활용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는 의문문의 다양한 기능을 다 담아내지 못하고 있었으며, 텍스트 요인, 상황 맥락 요인들과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 사이의 유기성도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교육 내용에는 의문문의 다양한 기능, 텍스트 구조 및 작문 목적과 의문문의 관계, 의문문에 대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교육 방법으로는 첫 번째로, 텍스트에서 의문문이 사용된 위치 옆에 날개를 달아 의문문에 관한 명제적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텍스트 구조와 작문 목적과 의문문의 관계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로는, 평서문만으로 이루어진 짧은 텍스트를 제시하고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을 적용하여 바꿔보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실제 한 편의 텍스트를 완성한 후에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 사용이 적절했는지 점검해볼 수 있도록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주로 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표현 기법으로서의 의문문이 문어 텍스트에서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보였으며, 기존 교육 내용에서 전통적인 수사법으로서 설의법과 문답법으로만 제시되던 의문문에 대한 교육 내용을 상세화 하고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ethod that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use for writ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s in two direction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functions of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in written text and then suggests an educational method on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Chapter Ⅱ investigates functions and the expression effect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written text by analysing newspaper columns. In newspaper columns, interrogative sentences have functions that present topic or turn topic, emphasize opinion, criticize subject, guess, attract interest, present solution, demand practice. These interrogative sentences can induce participation from readers and let them concentrate on. The readers also understand clearly the writer’s opinion that he emphasizes by using interrogative sentences. Moreover, interrogative sentences relieve expressions and express politeness, so the writer can respect their reader. Chapter Ⅲ analyzes Korean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suggests an educational method on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A unit of textbook on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doesn’t include various functions of interrogative sentences and doesn’t consider relation among textual factors, contextual factor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So this study consider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facts.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to include various functions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e relation not only between the text structur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but also between the purpose of writing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regard of a method of education, first, the propositional knowledge on interrogative sentences have to be explained in the wing that is placed next to interrogative sentence in text.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learning activity that learners change from declarative sentences to interrogative sentences in short text. Third, this study suggests evaluation items in order that learners check an appropriacy of using interrogative sentences in text by themselves. Most studies on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are related to spoken discourses.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take close look at functions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written tex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n interrogative sentence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