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문식성’ 신장을 위한 광고 텍스트 교육 연구

A Study on Education of ‘New Literacies’ Using Advertisement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육이 학습자의 요구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보고, 현대사회에서 학습자가 요구하는 국어능력으로 신문식성에 주목하였다. 신문식성이란‘언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호 체계를 이해하고 조작하며, 기호 작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비판하고, 디자인하며 유통하는 실천적인 힘’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교육용 텍스트로서 광고 텍스트는 신문식성을 신장하는 데에 특히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 근거는 광고 텍스트의 특성을 바탕으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광고 텍스트는 학습자의 삶에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 언어 경험을 구성하고 있다. 신문식성이 ‘언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호 체계를 이해하고 조작, 기호 작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비판하고, 디자인하며 유통하는 실천적인 힘’이라 할 때, 이러한 무의식적 경험을 비판적으로 조망,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은 신문식성 신장의 과정이자 결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다음으로, 광고 텍스트는 설득이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목적성을, 그러면서도 그 (표면적)메시지가 대중에게 쉽게 이해된다는 점에서 이해의 용이성이라는 특성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는 교육적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학습자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언어형식에 대한 탐구 학습을 구성하는 데에 유용하다. 게다가 광고 텍스트는 영화나 드라마 등의 복합 양식 텍스트에 비해 길이가 짧으면서도 완결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짧은 시간에 완결된 구조의 전체를 다룰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고 텍스트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신문식성 신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다만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수용과 생산을 연결하고, 문화와 사고의 측면을 아우르는 보다 종합적인 언어경험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10학년 이상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광고 텍스트 교육의 가능태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것은 지식을 통한 언어경험의 해체와 그것을 통한 지식의 심화 확장, 이를 기반으로 한 언어경험의 심화를 핵심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언어경험을 해체하고 심화하는 지식의 역할이 중요한바, 본고는 언어활동의 전 과정에서 의미와 경험을 구성하는 생산적 도구로서의 문법지식을 강조하는 통합적 문법 교육 이론을 적극 활용하여 논의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즉, 본고에서 문법지식은 광고 텍스트의 수용을 정교화하는 도구인 동시에 그 과정에서 생산의 전략으로 확장되는 실천적 지식이다. 이를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본고에서는 통합적 문법 교육 이론의 원리 및 접근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 사용역을 중심으로 광고 텍스트의 장르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교육 내용이 될 수 있는 광고 텍스트의 구성전략을 탐색하였다. 사용역을 중심으로 한 문법지식은 탐색한 교육 내용에 대한 언어적 접근의 도구가 된다. 본고는 학습자로 하여금 문법지식을 활용하여 광고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한편, 텍스트의 수용 과정에서 문자언어, 음성언어, 그림, 사진, 효과음 등 다양한 언어형식들이 기존의 문법지식과 관계를 맺는 양상을 탐구,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문법지식을 기호의 차원까지 확장, 재구성 할 수 있도록 교육적 가능태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재구성된 문법지식은 복합 양식 텍스트의 생산 전략으로써, 이후의 복합 양식 텍스트 생산 활동으로 연결,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신문식성 신장과 관련하여 광고 텍스트가 가지는 교육용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재조명하였다는 점, 지식을 통한 언어경험의 해체와 그것을 통한 지식의 심화 /확장, 이를 기반으로 한 언어경험의 심화라는 절차를 연결하여 수용과 생산을 아우르는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으리라 본다.

more

초록/요약

Considering the change of modes of communication in recent times, it is necessary for leaners to have a communication ability utilizing multimodal texts as well as monomodal texts. Focus of this study is related to improvement of this ability called new literacies. According to Hey-Seung Chung(2008), ‘new literacies’ is defined as a practical power understanding and making various sign systems mainly with languages, criticizing texts based on recognition on semiotics and designing and circulating them. Although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ltimodal texts, I selected advertisement as a educational text to improve new literacies. It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ment genre. First of all, advertisement wields strong influence in learners’ daily life out of awareness. Considering that the core of new literacies includes critical literacy to multimodal texts, advertisement is not only educational means but also very important target of new literacies education. In addition, advertisement has features maximizing educational efficiency. It is very short text showing completed structure, and its message is easy to understand while it shows various aspects composed of diverse sign systems strategically selected.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 to seeking a new approach to the advertisement education for improving new literacies. To find out effective way, this study take a stand of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emphasizing the use of grammatical knowledge as strategies to understand and produce text. I suggest the approach composed 3 parts. The first step is providing activities for learner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advertisements using grammatical knowledge which they have learned. Second step is broadening and reorganizing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for multimodal texts. It could be achieved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and various signs including images, voice, animation, and so on. And it is natural that reorganized grammatical knowledge includes semiotic factors as well as linguistic basics. The final step, leaners produce multimodal texts using reorganized grammatical knowledge strategically. Through whole process, text understanding and producing should be connected by practical knowledge. In conclusion, this study resurfaces the significance of advertisement as a educational text for new literacies education. To realize educational potentiality of advertisement, it suggests a new approach based on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Strategical use of grammatical knowledge and broadening its horizons play a key role of this approach. Since understanding advertisement and producing multimodal texts are able be connected by this practical knowledg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