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학교 자기 소개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주제(키워드) 자기 소개서 , 쓰기교육 , 국어교육 , 화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63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2011년 개정된 교육과정에는 자기 소개서 교육에 대한 내용이 직접 언급되어 있다. 이는 오늘날 사회의 필요성과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본고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자기 소개서 교육을 검토한 결과 목적에 따른 화제 선택과 배열 및 화제와 서술의 변별에 대한 교육 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장르 관습에 대한 학습과 창의적 표현 교육의 방향도 맞선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 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고는 상투적인 표현 탈피와 창의적인 자기 소개서 쓰기라는 개정된 교육과정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투적 표현에 대한 개념과 사례를 확보해야 한다고 바라보았다. 이에 따라 기존 국어 교과 교육학에서 논의되었던 상투적, 관습적, 개성적, 창의적, 일탈적 표현에 대한 개념을 빈도와 관련지어 해석하고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의 자기 소개서를 분석하여 관습적 표현을 추출했다. 관습적 표현은 고빈도어 및 고빈도어와 연어적 관계를 이루는 구와 절을 차례대로 추출하는 방법을 취했다. ‘글잡이Ⅱ’와 ‘지능형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하여 추출한 고빈도 내용어는 '21세기 세종 계획'의 말뭉치와 비교했고 고빈도 기능어는 강범모의 선행 연구 36개 장르와 대조했다. 연구 자료의 고빈도 기능어는 ‘일인칭, 연결-이유, 접속사-이유, 연결-역접’의 담화 표지에서 ‘++’ 등급의 언어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연결-접속, 접속사-역접, 연결-시간, 가능성, 진행’의 담화 표지에서 ‘+’ 등급의 언어적 특성을 보였다. 한편 연구 자료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 고빈도 내용어를 중심으로 ±3어절 사이에서 연어적 관계로 상정되는 대상어를 추출한 뒤, 기대빈도와 연어값(t-score) 계산 방식을 적용하여 연어적 관계 성립 여부를 판정했다. 그리고 이들 고빈도어와 연어적 관계어를 키워드로 삼아 ‘한마루 2.0’ 프로그램으로 용례를 검색하여 형태상 동일한 관습적인 구와 절을 추출했다. 이후 이들 고빈도어의 화제별 분포, 화제어의 문두 배치, 문장 간 관계와 서술 내용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볼 때, 관습적인 표현들이 나타난 원인은 화제의 의미 자질과 관련되어 있다고 해석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개정된 교육과정의 목표 실현을 위한 자기 소개서 쓰기 교육 방안을 설계했다. 교육 방안 설계는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의 수준으로 나누어 기존의 교육 내용이 수정․보완되어야 할 점을 기술했다. 교육과정 수준에서는 자기 소개서 텍스트의 기능적 범주화와 미시적 분류 체계에 의한 위계화 방안을 제시했으며, 자기 소개서의 범주는 자기 표현 혹은 사회적 목적에 따라 크게 ‘자기 소개글’과 ‘자기 소개서’로 나눌 것을 제안했다. 교과서 및 교사 수준에서는 자기 소개서의 관습성 학습과 서술 내용 및 전개의 참신성을 교육하기 위해 필요한 지도 방안을 마련했다. 글 전체 수준에서는 화제의 선택과 배열 지도에 대해 논의하고 문단 이하의 수준에서는 고/저빈도어 및 관습적 구절 제시, 화제의 의미 자질 인식과 전환, 화제어의 처리 방식과 핵심 정보의 전략적 배치 등이 자기 소개서의 참신한 서술 내용과 전개 방식 지도에 도움을 줄 것이라 보았다.
more초록/요약
In 2011, the revised curriculum has a comment which directly mentioned how to write self-introduction. It looks like what has reflected the social needs and demands. Until now, the self-introduction teaching course was not divided into selection and distinction between topic and description, it has been led to lack of learning about genre and distinguishing conventional expression. Thus, in this paper is an opinion that the teaching should be compensated, which made by examining the aims and methods of self-introduction teaching and catching the distinguish was not done well. In addition, in this paper is another opinion that meaning and example in the conventional expression should be obtained clearl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vised curriculum which aims to avoid writing conventional expression and to write creative one. In this point of view, the notion of conventional, customary, individual, creative and deviant expressions which have been learned in forme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interpreted extracted through analyzing self introductions written by Korean high-school 1st grade students. Studying customary expressions was done by extracting highly-frequently used words and sentences and phrases which make up copula in them one by one. Highly-frequently used content words were compared to corpus in ‘21st-Century Sejong Project’ and extracted more unique words. Besides highly-frequently function word was compared with 36 in text type by 'Beom-mo Kang', whose study material has linguistic quality graded ‘++’ in the discourse marker as to ‘PERS1, EC-REASON, CJ-REASON, EC-ADVS' and graded ‘+’ in it as to ‘EC-COOR, CJ-ADVS, EC-TIME, POSSIBL, PROGRESS’. And then, words made up for relation of corpus were extracted through calculating t-score, after extracting highly frequently used content words and copular objects words. Also, searching for these highly-frequently used words and copular relata, conventional phrases and sentences were laid out by frequent using in order. Finally, it was interpreted that the causes making conventional expressions are related to semantic feature as a consequence from study the distribution of topics and issues, arrangement on document head of topics and issues, similarity of describing contents. How to teach writing self-introduction for reaching the goals suggested in the revised teaching course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It suggested things which should be corrected and supplementary in each phase by being divided into design and practise. Designing hierarchy was suggested, which is categorizing self-introduction text and micro classification as to curriculums. It too was suggested that self-introduction should be classified into 'jagi sogaeseo' and 'jagi sogaegeul' according to the purpose. It was suggested that instructor and text-book should teach how to instruct to retain creativity in development and describing and learning writing custom. In conclusion, it would be help make creative describing and guide to instruct development, when in comes to overall writing, by selecting issues and arranging, and as to below paragraph, by suggesting using highly/lowly frequently used word, perceiving meaning qualities and switching, processing issues and guiding detailed descrip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