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탐구활동 분석·평가기준 연구 : - 중학교 『역사(상)』 고려단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and Evaluation Criteria on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 주제(키워드) 역사 탐구(Historical Inquiry) , 역사교과서(history textbooks) , 역사교과서 탐구활동(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 분석·평가기준(analysis and evaluation criteria) , 제작 원리(textbooks maker's guidelin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민정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62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is study defines the historical inquiry as a process in which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historians’ inquiry methods in part or entire revenue and as a result they acquire historical skills and make meanings historically. In additi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criteria on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to verify the quality of historical inquiry is set based on the nature of historical inquiry.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the subject and contents, structure and the role of the historical inquiry. The evaluation criteria for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historical inquiry. In particular, it is focused on the three factors; the learning materials, the relations with text itself and the quality of historical inquiry.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in middle school, 『History(1)』, on a basis of the analysis framework,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analysis framework, and confirm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have been found lots of activities as unclassified historical inquiry. And, even if historical inquiry takes place, it was needed the improvement of quality. Compared to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the various subject and content of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are being presented appropriately. But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assignment has not provided to explore at the deeper level of learning content. In particular, significant research subject to required various aspects of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judgment was not presented. In addition, the proposed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assignment is neither clearly presented nor reasonably structured. For these reasons, improvement is required as follows. First, historical inquiry has to be a process to identify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ssess them, not to repetitively confirm students' learning content. For this purpose, textbook developer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s that meaningful questions. Secondly, the intention, aim and process of the inquiry have to be organized considering what historical experiences the students can have through the historical inquiry. Thirdly, non-verbal materials need to utilize in order to bring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s. Overall improvement in the historical textbook is required. Getting out of the present fragmentar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textbooks is needed to make students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by actively engaging in the process of inquiry. In addition, the textbooks have to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historical methods by themselves as a foundation of historical inquiry. It is, however, hard to develop the high-level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without improving relevant conditions. Through a through discussion on historical inquiry, specific criteria have to be set to develop and evaluate the historical inquiry in the curriculum. Also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Insufficient studies, such as the preparation of criteria i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based on the textbook structure, the study to relate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studies with the analysis and so on, will be left behind as assignments.
more초록/요약
이 연구는 역사교과서 탐구활동 개발 및 검수를 위한 지침 마련에 일정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로, 탐구활동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분석·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사 탐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역사 탐구를 규정하는 한편, 역사 탐구의 특성을 바탕으로 탐구활동의 수준을 확인 할 수 있는 분류기준과 평가기준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평가 기준으로 현행 중학교 『역사(상)』 교과서 탐구활동을 직접 분석·평가해봄으로써 그 도구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현행 역사교과서 탐구활동의 질적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역사 탐구는 역사가의 연구방법이나 특징적인 사고의 일부 또는 전체를 경험하고 내면화하는 것으로, 역사적 기능뿐 아니라 역사 지식을 유의미하게 학습하는 활동으로 규정된다. 역사가의 연구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역사적 의미를 추론하는 과정인 만큼, 역사 탐구는 학생들의 역사 지식을 재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해석을 도출하고 역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사전지식과 흥미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사적 해석과 판단에 도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질문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탐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역사적 경험을 할 것인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그 의도와 목적, 과정을 구조화하여야 한다. 탐구활동의 유형은 탐구 주제와 내용, 탐구활동의 구성, 탐구활동의 역할의 세 범주에서 분류되며, 탐구활동의 구성은 다시 자료와 발문으로, 탐구활동의 역할은 본문과의 관계, 탐구활동의 과정, 탐구활동의 목적의 하위범주로 범주화되었다. 그 결과 탐구활동의 유형은 자료는 문자 사료, 역사서술 자료, 복합 자료로, 발문은 개별탐구형, 단일자료 복수발문형, 복수자료 단일발문형, 복수자료 복수발문형으로 분류되고, 본문과의 관계는 보충관계, 심화관계, 논쟁관계로, 탐구과정은 자료 내 독해, 맥락적 재구성, 추론으로, 탐구활동의 목적은 개별적인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 역사적 사실들 간의 관계의 파악, 역사적 행위의 동기나 목적에 대한 이해,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로 분류되었다. 탐구활동의 유형분석을 바탕으로 탐구활동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특히, 자료, 본문과의 관계, 탐구활동의 인지적 수준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평가기준이 마련하였다. 자료 영역에서는 독해의 용이성과 흥미유발 정도가, 본문과의 관계 영역에서는 탐구 주제의 타당성, 탐구과제의 적절성, 사전지식의 충분성을, 탐구활동의 인지적 수준 영역에서는 탐구과제의 완성도, 일련의 사고과정, 탐구활동의 수준을 평가기준으로 제시되었다. 마련된 분석·평가 기준을 준거로 현행 중학교 『역사(상)』 교과서 고려시대 단원의 탐구 활동을 분석하고 평가한 결과 일정한 경향성과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탐구활동이 아니라고 판별된 탐구활동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탐구활동으로 판별된 경우에도 그 질적 수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였다. 현행 교과서 탐구활동은 본문에 비추어 적절한 탐구 주제와 내용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제가 본문의 학습내용 이상의 수준으로 제시되지 못하거나, 다양한 관점의 역사적 해석과 판단을 요구하는 유의미한 탐구 주제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과제가 불명확하고 구조화되지 못하여, 깊이 있는 탐구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탐구활동 개발 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본문의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사고의 도약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탐구 과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의 역사해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유의미한 탐구가 가능한 과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탐구과제가 요구하는 학습 활동을 명확히 제시하는 한편, 발문이 학습자의 사고과정을 따라 구조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비문자 자료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복합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개별 탐구활동 이상의 역사교과서 전반에 대한 개선도 요구된다. 기존의 분산적 접근에 따른 탐구활동에서 나아가,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의문점을 바탕으로 탐구과정을 구성하고 주도해나가는 심층탐구가 가능한 지식 구성형, 탐구형의 교과서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역사 탐구를 위한 기초로써 역사연구 방법을 직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의 장이 교과서 내에서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탐구 학습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개선 없이는 교과서 탐구활동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어렵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검정기준에서 탐구활동의 수준을 평가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 탐구의 원리와 방법, 그리고 역사 탐구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학습자의 발달 수준 따라서 어떠한 역사적 소양과 기능이 요구되는지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역사 탐구를 실제적으로 적용하고 탐구학습을 주도하는 교사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 미진하였던 교과서 구성 체제를 반영하는 분석 평가 기준의 마련, 실질적인 탐구학습의 결과와 분석결과를 연관 짓는 작업 등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 둔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