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체장애청소년 체육활동 분석

Analysis of disabled students' sports activ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지체장애청소년 체력평가에 참여한 학생들의 프로그램 내용, 진행방법, 기간, 편의시설, 장소, 진행인원의 만족도가 프로그램 전체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이 학생들이 ‘지체장애청소년 체력평가’에 참여하게 된 동기 및 학교 내 체육활동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의 학교체육활동이 비장애학생과 비교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장애학생들이‘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참여로 인한 체육점수 평가에 대한 인식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내고 보다 나은 체육활동 환경을 제공하며, 지체장애학생들이 비장애인학생과 차별받지 않고 공정하게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장애학생의 경우 서울시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체장애 남녀 학생이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한국소아마비협회 정립회관에서 실시하는 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에 참여한 818명의 학생들(2008년 307명, 2009년 280명, 2010년 231명)을 대상으로 배부된 설문지 중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721부의 설문지와 설문지상의 드러나지 않는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10년 걸쳐 심층면담한 15명의 학생이다. 연구대상 중 체육교사의 경우, 동료 및 동료의 소개로 연구에 참여하게 된 서울시 소재의 중·고교에 재직 중 인 현직 체육교사 5명과, 경기도 소재의 중·고교에 재직 중 인 현직 체육교사 5명을 심층면담을 진행 하였다. ‘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에 대한 자체제작 설문지는 통계패키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문제 1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 3, 4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심층면담을 하였는데, 이는 반복적인 숙독을 통하여 의미 있는 단와와 문장을 선별하여 부호화 하였다. 이를 다시 반복적인 숙독을 통하여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의 프로그램 내용, 진행방법, 기간, 편의시설, 장소, 진행인원의 만족도가 프로그램 전체 만족도 미치는 영향은 매우 높으며, 그 중 진행인원의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체육활동 및 평가에서 장애학생별 개별 장애의 차이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고 이해할 수 있는 평가 인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장애학생들의 학교 내 체육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루어진다고 할지라고 미미한 경우로 나타났다. 장애학생들의 학교체육활동 평가는 일관되지 않으며, 각 학교별 체육선생님의 주관아래 평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지침이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잘 시행되지 않으며, 교사들이 장애학생의 평가에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학생들의 ‘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 참여로 인한 체육점수 평가는 각 학교별 점수 적용에 따라 상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적용 비율이 높을 경우 참가 학생의 만족이 높았으며, 적용비율이 낮을 경우 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를 통한 체육점수 평가에 대한 기준이 학교별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경우 본인의 학습관심도와 진학여부에 따라 체육점수 평가에 대한인식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 중·고교에 재직 중인 교사에 한해서 ‘지체장애청소년체력평가’에 참여하여 평가를 받는 것에는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통합교육 하에서 지체장애학생의 만족스러운 체육활동을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해서는 장애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법제도 제정 및 교육지침 제작, 교육 매뉴얼 제작, 체육교사의 양성 및 교육, 커리큘럼 수정, 특수체육 교육과정 추가, 시설과 기자재의 보강, 보조교사의 충원, 예산확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