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매체 언어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 탐구

A Study o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edia Language Learning

초록/요약

현재까지의 매체 언어 교육은 대부분 교수 수단으로서의 매체 활용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새롭게 고시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텍스트의 언어적 속성에 주목하여, 체계적인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을 반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현장의 교사들이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은 대부분 인정하면서도 매체 언어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겪는다는 데 있다.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안이라면 학습자들의 기존 학습 경험 구조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지만, 매체 언어 교육의 경우 이제까지 체계적인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매체 언어 학습 경험 구조가 명확히 드러난 적이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현장 교사들이 이제껏 매체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수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매체 언어 교수에 대한 실제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반응 양상이 드러난 적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 언어 관련 내용이 올바르게 교수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매체 언어를 교수하였을 때의 실제 학습자들의 학습 반응 양상을 확인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실제 고등학교 현장에서 국어 교과를 교수하는 교사들과 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매체 언어 관련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습 활동을 선정하였다. 이 학습 활동은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언어' 내용 체계 중 ‘자료 유형’을 제외한 ‘매체 언어의 성격: 지식 중심’, ‘매체 언어와 사회‧문화: 수행 활동 중심’, ‘매체 언어의 수용과 생산: 태도 형성 중심’으로 나누어 구안되었다. 이 때 ‘자료 유형’을 제외시킨 것은 그 내용이 앞선 내용 체계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구안한 학습 활동으로 실제 교안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교안을 실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수하고, 매체 언어에 대한 학습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그들의 실제 학습 양상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첫째, 매체 언어의 성격을 지식 중심으로 다룬 활동에서 매체 언어의 개념을 통해 언어의 기호적‧소통적 성격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매체 언어를 직접 창작해 보는 경험을 통해, 매체 언어의 개념을 내면화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매체 언어의 의미 요소를 분석해 내는 것에는 어려움을 드러냈다. 둘째, 매체 언어와 사회‧문화를 수행 활동 중심으로 다룬 활동에서는 매체 언어와 대중문화의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나 대중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인식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하지만 발견한 의미 요소들에 대해 토론하면서 스스로 대중매체에 의해 생성되는 매체 언어를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필요성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매체 언어의 수용과 생산을 태도 형성 중심으로 다룬 활동에서는 학습자들이 매체를 통한 사회적 의사소통에 대해 편향된 경험을 지니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사회적 의사소통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스스로 깨달아가는 양상을 드러냈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 언어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양상을 드러내고자 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또한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교수해야 할지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던 현장 교사들에게 매체 언어 학습의 실체를 드러내 보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So far, media language education has mostly aimed to make use of media merely as a means of teaching. The revised 2007 language arts curriculum paid attention to the linguistic attributes of texts delivered through media and provides systematic media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edia language though they approve of the necessit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t's advisable to devise teaching- learn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existing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ers, but little systematic education has yet been conducted about media language, and learners eventually have little learning experiences in that field. In a word, teachers have no experiences in teaching media language in a systematic manner, and there are eventually no information on how learners respond to media language instruction, either. In order to offer media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2007 language arts curriculum, how learners respond when media language is instruct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should be checked first of all.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language arts teachers and learner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were d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hich respectively centered around the content system of the revised 2007 language arts curriculum except for 'the type of materials': 'the nature of media language(knowledge-centered),' 'media language and socioculture(performance activity-centered)' and 'th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media language(attitude-centered).' 'The type of materials' of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was ruled out since it seemed to be naturally included in the other sections. Lesson plans were designed by employing the learning activities. After learners receiv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sson plans, how media language learning affected the learners was observed to grasp their learning asp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go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edia language and the semiotic and communicative nature of language while they were engaged in the activities that covered the nature of media language in terms of knowledge. And they internalized the concept of media language in the course of creating media language in person. But they found it difficult to analyze the semantic components of media language. Second, they fac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media language to popular culture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popular culture when they were engaged in the activities that dealt with media language and socioculture by focusing on performance activities. But they realized that they should accept media language created by massmedia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hile they had a discussion about the semantic components of media language they discovered. Third, they were found to have one-sided experiences in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media when they were engaged in the activities that covered th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media language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ttitude. They realized that for what they should express their opinions actively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learning aspects of learners about media language that was instructed in the revised 2007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this study wa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reality of media language learning to teachers who felt the need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yet faced difficulties in conducting i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