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동 표현의 탐구 경험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주제(키워드) 피동 표현 , 문법 탐구 , 탐구 경험 , 경험 양상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38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논문은 피동 표현 탐구 경험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학습자에게 구현해 봄으로써 그들의 탐구 경험 양상을 보여주고자 한 연구이다. 문법 탐구 경험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하는 것은 문법 교육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문법 탐구를 문법 교육의 고유한 교육 내용으로 조망하는 일이 필요하다. 탐구 학습을 통해 문법 탐구의 중요성이 공론화되었지만 현장의 모든 교사들이 탐구 학습의 교육적 의미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현장 교사들은 탐구 학습을 단지 교수 전략으로서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탐구 학습이 이처럼 선택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 중의 하나로 이해된다면 이는 언제든지 다른 교수법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탐구 학습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절대적인 공감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문법 탐구를 문법 교육의 고유한 교육 내용으로 실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문법 탐구 과정을 관찰하여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되고, 그 양상은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탐구 경험 양상을 드러냄으로써 탐구 학습의 교육적 의미를 밝힐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을 학습자에게 탐구시킬 것이냐 하는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학습자가 무엇을 경험하느냐 하는 것은 그들의 경험 양상을 드러내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피동 표현을 구체적인 문법 지식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교수․학습 활동 내용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현직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피동 표현의 교수․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한 피동 표현과 관련하여 학습자에게 구조화되어 있는 탐구 경험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사전 작업을 통해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한 다음, 이를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6명에게 실현시킴으로써 그들의 탐구 경험 양상을 드러내었다. 피동 표현을 자율적 구조체로 다루는 경험에서는 국어를 대상화하여 바라보는 것 자체를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피동 표현에 대한 인식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다음, 피동 표현을 실천적 작용소로 다루는 경험에서는 피동 표현에 대한 지식을 개념적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경우와 전략적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어문 규범과 관련한 내용에서는 자신의 언어 생활을 성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피동 표현을 관념적 반영체로 다루는 경험에서는 피동 표현에 어떠한 사고가 내재되어 있는지 따져 보는 탐구 활동을 통해 피동 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몇몇 학습자들은 언어와 사고,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통해 국어가 자신에 의해 적극적으로 운용되고 실천되는 실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의 주체인 학습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피동 표현에 대한 학습 경험과 그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탐구 경험 양상을 통해 탐구 학습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treatise is a study which is aimed to design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experience of exploration for passive expressions, embody it to real learners and show their aspects of experience of exploration. The most important task of grammar education is to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think by themselves through experience of grammar exploration. And to do so, it is necessary to view grammar exploration as unique education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Even though importance of grammar exploration through research learning has been publicize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ll of the teachers working at schools have clearly understood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ation learning. And also they often tend to understand it as just teaching strategy. If it is understood as one of selectiv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like that, it is problem because exploration learning can be replaced with other teaching ways at any time. Therefore without absolute sympathy of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ation learning, grammar exploration can not be realized to uniqu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to observe process of exploring grammar by learners, and study what they experience and what aspects appear because as aspects of exploration experiences of learners are shown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ation learning can be found. However, to do so, discussions of what contents teachers have learners explore should precede because what learners experience can have decisive influence on exposing aspects of their experienc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selects passive expressions as specific grammar knowledges and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s conducting a survey with teachers working in schools and learners, I have studied how teaching and learning of passive expressions are actually done in schools and what experiences of exploration are structured by learners in relation with passive expressions. Through these prior works, I have designed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alized it to six junior students in high school and exposed aspects of their experiences of exploration. In experience to handle passive expressions with autonomous structures, they have appeared to feel difficult to view to objectify their national language in itself. On the other hand, I can also find that they appear to realize recognition activities about passive expressions. Next, in experience to deal with passive expressions as practical operator, there is a case that they take knowledge of passive expressions as conceptual and strategic knowledges. And also related to language grammar standard, I can find that they appear to reflect on their own language life. Last, in experience to handle passive expressions with abstract reflection, I am confirmed that they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passive expressions through exploring what thoughts are inherented in passive expressions. And I am also confirmed that some learners realize their national language is an entity to be actively used and practiced by themselves through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and language and cultu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ith studying learners who are the subject of teaching and learning, it tries to expose experiences of learning and their aspects about passive expressions, and show entity of exploration learning through aspects of learners' experiences of explor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