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희곡 평가방안 연구 : 이강백의 <파수꾼>, <느낌, 극락(極樂)같은>을 바탕으로
- 주제(키워드) 희곡 , 평가 , 이강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상란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23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at devising an evaluation method to express the uniqueness of plays well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education making the most use of originality in the field of plays. For this purpose, the earlier studies of three different fields have been reviewed. In the previous studies, drama education has been progressed in either a theatrical approach or a literary approach, and Korean Education has tried to find a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literature field pointing out the limits of its objective evaluation. For an evaluation material, Lee Kang Back's plays are selected in that they have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allegory, plenty of the play elements, a variety and abundance of topics for the internalization process. For example, <Watchman> delivers an active interest in social reality, and <Feeling, Like Paradise> pursues the truth of life and something invisible. In section Ⅱ, two types of play evaluation factor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Especially, the two factors are highlighted for the play evaluation. First, the play evaluation is to able to foster an active and independent appreciation of literature which represents the general goal of literature. The play evaluation is to include the reader's affective attitude and appreciative power of aesthetics which ar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s evaluation factors in literary education. This process is to not only improve language skills through the literature but also move toward the evaluation which can deepen and expand the understanding of life. Second, the play evaluation must be proceeded to cultivate the imaginative power which can fill the empty space. A play is a dramatic text which means a symbolic system for a theatrical imagination. Therefore, a play worthy of the name is to be read with the consideration of its stage formation method during the configuration of its imagined space. In order to enjoy a play, merely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text in a static way is not enough; that is, the creation and conversion process of the theater in a dynamic way is necessary. In other words, the play evaluation is to cover theatricality and literariness at the same time. In section Ⅲ, the elements for the play evaluation are summarized by analyzing the national evaluation items of the play published in 2008. The previous assessment items evaluated literary elements and theatrical elements on the basis of various evaluation factors such as stage formation methods, the character's psychology and attitud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lays, meaning and function of objects. The play evaluation factors has been checked via the analysis of the assessment items, and Lee Kang Back's <Watchman> and <Feeling, Like Paradise> as the evaluation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ctual assessment items have been made, and these items include objective assesment items and performance assesment items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ese assessment items for the play evaluation face the limits that the items have been generated from only the two works as examples. However, this attemp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treats the drama educ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less important than the poet education and the novel education. Second, it covers the evaluation areas which have shown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specific assessment despite the most important areas. Part Ⅳ, the conclusion, proposes an approach to the methods of teaching and evaluating plays. From now on, the methods of teaching and evaluating plays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 reader's independent and active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to enrich the imaginative power which can fill the empty space of dramatic texts. In addition, a variety of studies on the play evalu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considering the originality and uniqueness of plays will be expected continuously in future.
more초록/요약
본 연구는 희곡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평가 방법을 구안하여 희곡 영역의 독자성을 살린 교육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분야의 기존 연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 검토를 통해 희곡 교육이 대체로 연극성과 문학성 두 가지 방향 중 하나를 설정하여 진행되었다는 점과 국어과 평가 중 문학 부분은 객관식 평가의 한계를 지적하며 수행평가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평가 제재로는 우화성이 강하고 희곡적인 요소가 많으며, 주제가 다양하고 풍부해 내면화 과정을 거치기에 좋은 이강백의 희곡 중 사회 현실에 적극적인 관심을 전하고 있는 <파수꾼>과 삶의 진실과 보이지 않는 것을 추구하고 있는 <느낌, 극락(極樂)같은>을 선정하였다. Ⅱ장에서는 희곡 평가 요소를 두 가지로 분석, 정리하였다. 희곡 평가 요소로는 두 가지를 강조하였는데, 첫째는 희곡 평가가 문학의 일반적인 목표인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문학 감상력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희곡 평가는 문학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수용자의 정의적 태도 및 심미적 감상력을 평가요소로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문학을 통해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삶에 대한 이해를 심화, 확대시킬 수 있는 평가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로, 희곡 평가는 빈 공간을 채워줄 수 있는 상상력을 키워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희곡은 극 텍스트로 연극적 상상력을 위한 하나의 기호체계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므로 희곡은 희곡답게, 즉 상상의 공간을 구성해가면서 무대형상화 방식을 고려해가며 읽어야 한다. 결국 희곡 감상은 문학 텍스트의 이해라는 정태적인 차원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되고 연극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생성과 변환이라는 동태적 행위의 차원으로 나가야 한다. 다시 말해 희곡 평가는 연극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Ⅲ장에서는 2008년 국가 수준의 희곡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희곡 평가 요소를 정리하였다. 기존의 희곡 평가문항은 무대 형상화 방식, 인물의 심리 및 태도, 희곡의 갈래별 특성, 오브제의 의미 및 기능 등 다양한 평가 요소를 바탕으로 문학적인 요소와 연극적인 요소를 평가하고 있었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희곡 평가 요소를 점검하고, 평가 제재인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과 <느낌, 극락(極樂)같은>의 내용을 평가 요소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평가 문항을 제작해보았는데, 객관식 평가 문항과 수행형 문항을 동시에 마련해보았다. 물론 이 평가 문항들은 희곡 평가의 하나의 예시로서 두 작품을 통해서만 정리되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시나 소설에 비해 미약했던 희곡 교육을 다루었다는 점과, 가장 중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논의가 적었던 평가 분야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결론인 Ⅳ장에서는 문학 교육 속에서의 희곡 지도 및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희곡 지도 및 평가의 방향은 문학 수용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감상력을 신장시켜주고, 희곡 텍스트의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상상력을 키워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앞으로 희곡 평가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희곡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담아낸 평가 문항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