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체육특기적성교육이 정규체육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of middle school on the Cogni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가 정규체육수업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분석함으로써 종래의 정규체육수업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체육특기적성교육의 효과를 밝히고, 바람직한 체육특기적성교육 운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자는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를 선정한 후 총 320명의 학생 중 최종적으로 28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13.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개 학교에서 주임교사의 추천을 받아 선정된 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방식(unstructured interview)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은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참여기간이 비례하여 길어지는 반면, 여학생은 학년이 높아져도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거의 없었다. 셋째, 참여동기에 따라서는 ‘체육이 즐겁고 다양한 체육활동을 경험하기위해’ 참여한 집단이 체력과 건강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와 운동기능과 소질을 기르기 위해,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참여한 집단에 비해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종목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경우 축구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이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참여 학생과 비 참여 학생 모두 다양한 프로그램 및 운동종목이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시설 및 용구, 개인운동 수준 및 성향, 지도자의 자질 등의 순이었다. 여섯째, 참여학생의 경우 89.7%가 향후 체육특기적성에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을 보인 반면, 비참여학생들의 경우 39.9%만이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참여집단이 재참여 의사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체육특기적성교육의 참여를 통해 학업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향상된 기능을 정규체육수업에서 발휘하는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규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예전에 관심이 없던 운동선수의 경기에 관심을 갖는 등 체육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발적으로 참여한 체육특기적성교육은 의무성을 전제로 하는 정규체육수업의 보완적인 측면에서 훌륭한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보여진다. 자발성을 전제로 하는 체육특기적성교육은 정규체육수업이 지니는 의무성, 형식성, 그리고 폐쇄성 등을 모두 상쇄시킬 만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실적 미비로 달성되기 어려운 체육의 다양한 가치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육특기적성교육과 정규체육수업의 자연스러운 연계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research is pertinent to exploring the effects of Physical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which would elevate the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itherto to a higher level, and putting forward a direction for an appropriate administration of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by examining the efficacy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on the cogni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o doing, this research performs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simultaneously. Of 320 students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in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data from final 284 respondents for the survey are utilized. In analyzing data derived from the survey, frequency test, one-way ANOVA, and crosstabs are employed.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are carried out with eight students recommended by head teachers in the two schools. I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an inductive analysis predicated up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First, it is found out that the cogni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s higher in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than ones who do not. Second, the cogni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with gender as a variable i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ones. In addition, male students show a trend that participation period gets longer in proportion to their grades, whereas few female students take part in continuously despite their grades getting higher. Third, the research finds out that, according to motives for participation, a group with the motive, ‘for experiencing joyous, various physical activities’ has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compared to groups with motives, ‘for health and banishing stress’, ‘for improving aptitude for physical functions’ and ‘for getting along with peer’. Fourth, in accordance with types of activities, students participating in soccer show the most positive cognit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ase of mal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female students. Fifth, it is concluded that both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students reckon that involvement in various programs concerned and physical activities would have the most considerable influence on whether or not to be engaged i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followed by facilities and equipment, individual adeptness and interest, and competence of a teacher in order. Sixth, as to students engaged, 89.7% reply that they would be involved again i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whereas 39.9%, in case of students disengaged, would be so, leading to conclusion that a group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at present show a much higher intention for re-engagement. Students report that stress coming from schoolwork could be diminished by involving themselves i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and they possess self-conceit in demonstrating improved skills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Moreover, students comment that they get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physical education (e.g. being interested in sports events unlike before) after actively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aking all results into consideration, it comes down to conclusion that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where students participate voluntarily, could play an excellent role in complementing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upon the premise of compulsion. In addition, this paper is convinced that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lying on voluntarism is endowed with educational benefits that offset compulsiveness, formalism, closed-ness, and the like, characters of which Physical Education Class owns. Therefore, the paper suggests that coordination is needed between Physical Education of Speciality and Aptitu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diverse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that are hard to be met in the face of the current defectiveness in physical education of South Korea.

more

목차

Ⅰ.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가설 = 5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6
5. 용어정리 = 6
Ⅱ. 이론적 배경 = 10
1. 특기적성교육 = 10
1) 특기적성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10
2) 특기적성교육의 목적 = 11
2. 체육특기적성교육 = 13
1) 체육특기적성교육의 목적 = 13
2) 체육특기적성교육의 운영 = 15
3. 선행연구 = 17
Ⅲ . 연구 방법 = 21
1. 연구대상 = 21
2. 연구 내용 및 절차 = 23
3. 연구도구 = 25
4. 자료 처리 및 분석 = 26
Ⅳ. 연구결과 = 28
1.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28
2.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30
1) 성별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30
2) 참여기간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31
3) 참여동기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35
4) 참여종목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37
3.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체육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의향 = 42
1)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 인식 = 42
2) 체육특기적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필요사항 = 43
3) 향후 체육특기적성교육의 참여의향 = 45
4.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자에 대한 면담 = 48
1)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도 = 48
2) 체육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인식 = 51
3)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58
Ⅴ. 논의 = 64
Ⅵ. 결론 및 제언 = 77
1. 결론 = 77
2. 제언 = 81
참고문헌 = 82
국문초록 = 86
부록 = 89
표목차
표 1. 체육특기적성 활동 영역 = 15
표 2.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2
표 3.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면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23
표 4. 체육수업 인식 측정도구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 25
표 5. 집단면담 영역 및 내용 = 26
표 6.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28
표 7. 성별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31
표 8. 학년에 따른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기간 = 32
표 9. 참여기간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평균과 표준편차 = 33
표 10. 참여기간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 33
표 11. 참여동기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평균과 표준편차 = 35
표 12. 참여동기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량분석 결과 = 36
표 13. 성별에 따른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종목 = 38
표 14. 남학생의 참여 종목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평균과 표준편차 = 39
표 15. 참여종목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량분석 결과 = 39
표 16. 여학생의 참여 종목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평균과 표준편차 = 41
표 17. 참여종목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량분석 결과 = 41
표 18.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 인식 = 43
표 19. 체육특기적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필요사항 = 44
표 20. 향후 체육특기적성교육의 참여의향 = 45
표 21. 체육특기적성 참여 집단의 향후 체육특기적성교육의 참여의향 = 47
표 22. 체육특기적성 비참여 집단의 향후 체육특기적성교육의 참여의향 = 48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절차 = 24
그림 2. 체육특기적성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정규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29
그림 3. 체육특기적성교육 향후 참여 의향 =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