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효과적인 부모역할훈련(P.E.T)이 가족의 의사소통과 유연성(flexibility)에 미치는 영향 : 부부집단을 대상으로

The Impact of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Flexibility among Family Members: Focus on Married Couple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un and verify the communication program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which is made by Tomas Gordon and known as effective program. And after running this program on several married couples, I could get the result how this program aff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ren or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he flexibility of family. There are two groups for program, experiment and compared group, each group is seven married couples who live in GoYang City. And the experiment group had been done one time(3 hours per one time) per week and totally 8 times, 24 hours from 24th August, 2008 to 19th October, 2008. The Objective standard was developed by David H. Olson, PAC(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used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ren, ENRICH(Enrich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Issues, Communication and Happiness) was used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he flexibility part in FACESIII(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was used for family flexibility. And I added a observation diary and satisfaction. The result of getting from this study is below; First, I found that P.E.T gave positive influence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between parent and children. The result of before, after and the later experiment show that the later experiment group’s score has increased more than the compared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variation from before to the later experiment. Second, I found that P.E.T gave positive influence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result of before, after and the later experiment show that the experiment group’s score has increased more than the compared group. And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Third, I found that P.E.T didn’t give a worthy positive influence to the flexibility of family. The result of before, after and the later experiment show that the experiment group’s score has increased a bit more than the compared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Fourth, The analysis of Observation Diary show that the changes of relationship improvement appeared from reflective listening in second time and started to improve when learning I Message in fourth time. In family relationship, The husband(or farther) has been experienced difficulty in communication. So there was a need to improvement and could be more effective. Fifth, in the result of satisfaction, I found that the husband is more satisfied with than the wife comparatively. This is because the husband had less opportunities to join in parent education program like thi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 can find consensus in aspect of social welfare like below: Many people feel that their communication skill need to be increased but most of them don’t know how to increase this skill. The best wa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is that the training for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is held in many place and frequently. I think there need to run various communication program like communication program held in many place in the evening for the husband(or father) and communication program in work and in school for children. And also it’s one solution to cooperate with currently running program like father school or mother school In later study, it will be good to include children in this program for making entire effect in family communication. The flexibility of family is very important fact relating family health. So I think there need to reconfigure it through contents complement. And I think it’s meaningful to propose alternativ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comparing study with another communication programs.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대한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해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고든(Thomas Gordon)에 의해 만들어진 효과적인 부모역할훈련(P.E.T :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으로 부부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부모-자녀 간, 부부간 의사소통과 가족의 유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과를 보았다. 대상은 고양시에 거주하는 실험집단 7부부 14명, 비교집단 7부부 14명이며 실험집단에게는 2008년 8월 24일부터 10월 19일까지 주 1회 3시간씩 총 8회 24시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객관적 척도는 올슨(David H. Olson) 등이 개발한 것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PAC(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부부간 의사소통은 ENRICH(Enrich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Issus, Communication and Happiness), 가족의 유연성은 FACESIII(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중 유연성부분을 사용하였고 여기에 관찰일지와 만족도를 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P.E.T 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추후 검사결과 추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향상되었고 사전과 추후의 변화량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P.E.T 는 부부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추후 검사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셋째, P.E.T는 가족의 유연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사전, 사후, 추후 검사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조금 향상되었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넷째, 관찰일지 분석결과 관계개선의 변화는 두 번째 모임의 반영적 경청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고 네 번째 모임에서 나 전달을 배움으로써 향상되기 시작했다. 가족 관계에서는 남편, 아빠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고 필요성을 더 많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효과도 컸다. 다섯째, 만족도 결과 남편이 아내보다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부모교육 참가 기회가 적었던 남편들의 프로그램 참가효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의 능력 향상에 대한 필요성은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데 향상의 방법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인다. 그 효과성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하게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의사소통의 욕구를 강하게 느끼고 있는 아빠, 남편들의 참여를 위하여 저녁시간대에 다양한 장소에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 직장 내에서 의사소통에 관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 자녀들을 위하여 학교에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아버지 학교, 어머니 학교 등의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가족의 의사소통 효과를 모두 보기 위해서 자녀들에 대한 연구도 함께 병행하면 좋을 것이다. 가족 유연성은 가족의 건강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부분이므로 내용의 보완을 통하여 재구성해 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 다른 의사소통과의 비교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효과적인 소통에 대한 대안들이 제시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본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