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설화』의 문화기호학적 연구 : A Study on 「the tale of Domi」based on the culture Semiotic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송효섭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8602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이 연구는 「도미설화」를 문화기호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도미설화」의 문화적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도미설화」는 열녀형 설화, 관탈민녀형 설화로서 읽히지만, 그러한 설화와는 다른 의미를 형성하기도 한다. 기호학적 분석을 통하여 「도미설화」의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를 통해 그 문화를 살펴보았다.
「도미설화」는 개루왕이 도미아내를 욕망하는데서 갈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탈민녀’라는 문제 상황은 표면적으로 지배남성과 피지배여성의 대결로 드러난다. 여기에는 두 가지 권력이 얽혀있다. 지배-피지배, 남성-여성의 관계이다. 이러한 갈등의 상황에서 약자에 대한 강자의 억압이 분명하게 드러나며, 이는 비판적인 인식을 촉구한다. 강자가 약자를 억압하는 상황을 옳지 못한 것이라는 인식이 명확히 드러나게 된다. 이는 지배-피지배 관계에서 피지배자의 승리이다. 그리고 이는 남성-여성의 구도에서 여성이 ‘열(烈)’이라는 이념을 성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해석은 「도미설화」에서 전형적인 주제로 설명된다. 정절을 지키는 열녀, 지배자에 대한 민중의 저항의식, 선악의 선명한 구도에서 선의 승리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표면적으로 드러난 의미 외에 「도미설화」는 지배-피지배, 남성-여성, 부-부의 관계가 얽히고 선-악, 신(信)- 불신(不信) 등의 의미체계가 통합되면서, 다양한 의미가 형성된다.
「도미설화」에서 이야기의 중심축은 도미와 개루왕의 대결이다. 도미아내는 욕망하는 ‘대상’에 위치한다. 이들은 같은 대상을 욕망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대결한다. 하지만 도미와 개루왕의 대결에서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이 도미아내에게 부여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도미아내는 ‘대상’만이 아닌 ‘주체’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도미아내가 도미에 대한 믿음을 지키면서 이 대결은 도미의 승리로 끝이 난다. 개루왕은 ‘아내’의 정결함을 문제 삼지만, 도미는 ‘인간’으로서 도미아내를 믿는다. 즉, 도미아내는 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애정을 성취한 한 ‘인간’으로, 선택의 ‘주체’로 해석될 수 있다.
「도미설화」에서는 위정자가 잘못했을 경우, 피지배자들이 저항하는 문화를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개루왕과 도미의 대결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결과도 도미에게는 불리하다. 또한 개루왕은 첫 번째 시험 결과를 마음대로 뒤집고 오히려 도미를 벌한다. 악한 인물인 개루왕은 벌을 받지 않고. 비교적 선한 인물인 도미부부의 삶은 해피앤딩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런 정황들을 살펴본다면, 오히려 지배-피지배 관계는 위정자가 어떠한 잘못을 하더라도 깨지지 않는 공고한 위계라는 것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민중의 저항의식을 보여주기 보다는, 지배-피지배의 정치 사회적 의미층위를 강화하려는 문화를 읽을 수 있다.
「도미설화」를 선이 승리하는 이야기로 볼 수 있느냐는 ‘善’을 무엇으로 보느냐, 인물을 선-악의 양향대립 어느 쪽에 위치시킬 것인가, 「도미설화」가 해피앤딩이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권선징악’의 주제를 구현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권선징악’을 표면에 내세우고, 그 이면에서 다른 의미를 강화하고 있기도 하다.
「도미설화」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텍스트이다. 그 중 확고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은 ‘지배-피지배’의 위계가 공고한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또한 강화하고 있다는 것과, 사고지각적 의미층위가 다른 가치를 통합하는 텍스트라는 것이다.
이처럼 「도미설화」는 열녀형설화로 관탈민녀형 설화로서의 틀에 충실히 읽혀지는 동시에, 그 해석에 있어 다양한 장애가 일어나고, 이를 통하여 그 의미는 풍부해 진다. 어떠한 의미는 민중의 입맛에 맞기도 하고, 다른 의미는 지배층의 의도와 맞아 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해석의 다양성이 「도미설화」가 끊임없이 재생산 될 수 있었던 생명력의 원천일 것이다. 본 논문은 「도미설화」의 문화체계를 정의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목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cultural meaning of 「the tale of Domi」with cultural semiotic methodology. 「The tale of Domi」is usually read as the tale of woman who was faithful to her husband or woman who was outraged her chastity by a power holder, but it holds another meaning also. To find out the hidden cultural meaning of 「the tale of Domi」, its surface structure and deep structure were analyzed by semiology.
In「the tale of Domi」, King Gaeru had a craving for Domi''s wife causing complications. Such trouble of'' woman being outraged by a power holder'' appears to cause confrontation between a man of ruling class and a woman under his control.
But there exist two powers intertwined. T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ruling-the being ruled, woman-man. In such conflicted state, a suppression of the strong on the weak clearly revealed bring a critical recognition into being. A clear recognition that the strong shouldn''t suppress the weak take place.
That the woman gained a victory from the confrontation of the ruling -the being ruled relation. And an achievement of an ideology that women are ''fervent'' gained from th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Such interpretation is a typical subject relevant to 「the tale of Domi」. these are very thing such as women devoted to their husband, people''s resistant consciousness to their ruler, and the good''s victory in the clear structure of the good and the bad. But beside this superficial meaning, in the tale, the relations between the ruling and the being ruled, men-women, husband-wife are combined, and the good-the bad, faith-unfaith are united in their frameworks forming various meanings.
In 「the tale of Domi」, its central axis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Domi and King Gaeru. Domi''s wife stands as a object of their cravings. Their confrontation is inevitable for they both have craving for the same subject. But as the important role to decide the issue of the confrontation is given to Domi''s wife, she is not only an object but also a subject here. The confrontation ended with Domi''s victory with her belief in him. King Gaeru made a thing of the chastity of a ''wife'', Domi believed his wife as a ''human being''. That is, she could be said to be a subject of her choice who accomplished her own love as a human being.
In 「the tale of Domi」, we could read a culture of resistant people to the people who governs them when he commits a wrongdoing. But whatever results occurs from the two men''s confrontation, it''s for sure that all of them are unfavorable to Domi. What is worse, King Gaeru reverse the 1st test result as he pleases and even punishes Domi. The evil minded King Gaeru is not punished, and therefore it''s not sayable that Domi and his wife who are relatively good peoples enjoyed
happy ending lives.
From the view, we could grasp a fact that the ruling-the being ruled relation is an unbreakable firm grade of rank no matter what wrongdoing the ruler commits. And through the fact, we could read a culture of reinforcing a political, social level of the ruling-the being ruled in their meaning rather than revealing a people''s resistant consciousness
Whether or not 「the tale of Domi」could be evaluated as a tale in which the good gained a victory, depends on a standard of judgment of the good, or on which side to put a figure at the ambivalent confrontation of the good-the bad, or the tale is that of happy ending, in drawing out various interpretation.
This tale expresses the subject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n a way, but it''s only a superficial meaning, behind of which an other meaning is being intensified.
「The tale of Domi」is a text susceptible to various interpretations. And some of clearly emerging among them are the reflection and strengthening of a culture of a firm grade of rank between the ruling-the being ruled, and it''s a text with its perceptual thought level in meaning uniting other value to itself.
Like this, 「The tale of Domi」is read as the one faithful to the frame of the story of women who are devoted to their husband or who are outraged by the power holders, bringing out a great many trobles in its interpretations, and simultaneously enriching its meaning. Some meaning is seductive to the populace, and others are seductive to an intention of the ruling class. Such diversity of the interpretation might be the source of the tale''s survival power that constantly being reproduc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tale of Domi」rather than to define its cultural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