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체험을 통한 역사적 사고력 신장 연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백인호
- 발행년도 2008
- 학위수여년월 2008.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7835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기존의 역사 수업에서는 지나치게 교사 위주의 지식 전달에 치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동적인 입장으로 역사를 단순 지식만을 암기하는 수준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는 고리타분하고 어려운 교과로 인식 되었다.
많은 것을 알게 하는 지식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학습자의 개성과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는 교육을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터득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수업 참여와 관심을 이끌기 위한 수업으로 역사 신문 제작을 활용한 수업을 현장에 적용하였다.
수업은 김포시 D중학교 2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7월 20일 3교시, 7월 27일 3교시, 8월 10일 3교시 3차시에 걸쳐 역사 신문 제작을 실시하도록 하였고, 수업 후에는 각 모둠이 제작한 신문을 모둠장이 발표를 하게 하고 타모둠과 토론을 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1학기에 배운 내용을 다시 한번 숙지하도록 하였고 협동심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이 되게 하였다.
수업 후에 필자는 학생들의 제작물을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통해 역사적 사고력 향상을 입증하였다.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로는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판단력이 있다. 분석 결과 모둠1,2는 16점, 모둠3은 15점, 모둠4는 14점이 나왔다.
1차 설문조사와 2차 설문조사를 통해 신문 제작 후 역사적 사고력이 향상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대기 파악의 긍정적인 반응은 사전 검사 37%→사후 검사 38% 였고, 역사적 상상력의 긍정적인 반응은 사전 검사 32%→88%로, 역사적 탐구력의 긍정적인 반응은 27%→68%로, 역사적 판단력의 긍정적인 반응은 사전 검사 60%→65%로 증가 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역사 신문 제작을 하고 난 후에 학생들은 역사에 흥미와 관심이 증가함을 보였고 역사적 사고력이 향상되어 역사 신문 제작 학습이 역사 수업에 열의를 갖게 하는 방안이 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사 신문 제작 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역사 교육 현장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한다.
첫째, 교사는 역사 신문 제작 학습에 앞서 다양한 자료를 준비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해 주어 양질의 수업을 준비해야 한다. 이는 역사 신문 제작 학습에 따른 자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모 되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는 역사 신문 제작 학습에 따라 모둠 협동 학습을 시행 할 때 학생들이 산만하고 떠들지 않도록 하는 통제가 필요하다. 각 모둠원의 활발한 토론과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하지만 자칫 타 모둠원에게 방해가 될 수 있고 옆 교실 수업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교사는 역사 신문 제작을 한 내용을 적절한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노력에 따른 보상을 실시하여야 하고 좀 더 나아가 훌륭하게 제작한 신문에 대해서는 교내 전시를 통해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교사는 교과서도 하나의 텍스트에 불과 한 것을 인식하여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수업을 하여야 하고 학생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입장에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창안해야 할 것이다.
목차
The existing history teaching has been mainly concentrated on just delivering of knowledge, led by teachers, which made students recognize history a difficulty and stereotyped subject.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self-learning consciousnes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which requires an education that satisfies both characters and various desires each student has.
For this, I applied a class which uses the method of history paper in order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from students.
The class was applied to the two classes of second-grade students of ''D'' middle school, located on Gimpo-si on July 20, July 27 and August 10 and after that, heads of each group announced and discussed their-made history papers, which helped them know well the contents that they learned in the 1st semester and them acquire team spirit as well.
After the class, I analyzed students'' papers based on the subcategories of historical thinking and through pre and after examination, and verified their improved historical thinking. The subcategories of historical thinking are four factors of chronicle comprehension, historical imagination, historical inquiring ability and historical judgment. From the analyzed result, group1 and 2 had 13 points respectively, group 3 gained 15 points and group 4 obtained 14 points.
I tried to verify that students have improved their historical thinking after making history papers through 1st and 2nd surveys. The chronicle comprehension has developed from pre-survey 37% to after-survey 38%, historical imagination from 32% to 88%, historical inquiring ability from 27%→68% and historical judgment from 60% to 65%,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king history paper has increased the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and developed their historical thinking.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 some effective measures for better history class using history paper.
First, teachers are required to prepare plenty of materials for the better class before the production of history paper, because it takes lots of time to prepare for the material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making history paper.
Second, teachers should control students when exercising group-cooperation for history paper. To control is for preventing possible disturbance against other classes, while providing a chance for them to actively discuss and talk about various topics from the history papers.
Third, teachers should award students proper prize for their efforts after evaluating their history papers and furthermore, in order to more increase achievements, it is desirable that excellent papers are displayed on school exhibitions.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that text books are just part of many useful materials for teaching and should teach students with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creat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complementary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