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티칭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분석 : An Analysis of the Interaction Occurring in Team-teaching : Focusing on Questions and Task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박상기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4422
- 본문언어 한국어
목차
본 연구는 원어민 교사를 활용한 팀티칭에서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질문과 과업을 분석하고, 이 두 요소가 학습자를 자극하여 언어를 확장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고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여 앞으로 팀티칭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6년 경기도 교육청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 ․ 학습과 다양한 외국어 수업기법에 의한 교실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원어민 공개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공개 수업 자료 중 주제(topic)와 과업의 유형이 각각 다른 5개 중학교의 팀티칭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수업을 원어민 교사가 주도하고 있어 한국인 교사의 질문은 배제시키고 원어민 교사의 질문을 살펴보고 학습자의 반응을 유도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팀티칭에서 이루어진 과업을 <과업 전 단계>, <과업수행단계>, <과업 후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학습자간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있는지, 또한 학습자들을 자극하여 언어를 확장시키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은 대체로 도입과 정리단계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 질문은 학생들의 이해를 점검하기 위한 전시형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개인적인 의견이나 생각을 요구하는 참고형 질문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질문형태는 WH-Question이나 Yes/No Question에 집중되어 있어 학생들의 반응은 문장 형태로 발화하기보다는 간단하게 단어를 말하거나 Yes/No로 대답하는 수준에 그쳤다.
둘째, <과업 전 단계>와 <과업 후 단계>에서는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었다. 학습자간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은 짝 활동과 소집단 활동이 이루어진 <과업수행단계>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짝 활동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표현을 익히도록 대체로 과업이 통제되어 있었으나 소집단 활동에서는 학교에 따라 학습자간의 자발적인 언어 사용을 통제하기도 하고 유도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의사소통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질문은 학습자를 자극하여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이끌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전시형 질문과 참고형 질문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학습자의 반응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는 과업을 구성할 때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의사소통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과업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자발적인 언어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과업인지 고려해야 한다. 또한 원어민 교사를 활용한 팀티칭은 학습자에게 영어사용의 기회를 제공해주어 학습자의 언어를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팀티칭 교수방법을 개발하는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목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or not the questions and tasks occurring through team-teaching interactions stimulate learners to further communication, and to use this information to design team-teaching more effectively.
In 2006, team-teaching open classes were held,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improve classes by Communicative Approach and various language techniques. To achieve the suggested purpose, team-teachings from 5 middle schools were considered. Various topics and tasks were used, with analytical focus on questions and tasks.
Native teachers'' questions were examined, and learners'' reactions to the questions were analyzed. Korean teachers'' questions were excluded because the class was mostly led by a native teacher. Also, tasks were divided into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eachers'' questions are usually asked in the introduction and consolidation step. Most questions in these steps were display questions to verify learners'' comprehension. There were little referential questions that required personal opinions and thoughts. Native teachers chiefly initiated speaking with WH-Question and Yes/No Question. Consequently, learners simply responded with a few words or Yes/No. They seldom responded with long sentences.
Second, there was little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the
In conclusion, teachers'' questions should be strategically asked to encourage learners to use English. Teachers have to use display questions and referential questions adequately, with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the learners, to stimulate learners to further communication. Also, when teachers think of tasks, they first need to analyze the task to see if it can stimulate interaction among the learners. That is to say, they should consider if the task can stimulate learners to further communication. Finally, team-teach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FL context as native teachers provide learners with good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Thus, more studies should be done to develop team-teaching methods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