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How to Bring Content-Based Instruction in Korean Secondary School Sett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노재호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 식별자(기타) 000000104288
  • 본문언어 영어

목차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bring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in Korean secondary school setting. Toward this end, rationale for CBI is reviewed by exploring definition, supports from various aspects and types of CBI. With this theoretical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Korean education system to create CBI curriculum in Korean secondary school setting. To understand Korean secondary school sett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independent activity and government After-school program policy are reviewed. The connection between CBI and Korean Education system can be found in the aspects of learner-centered idea, intrinsic motivation and Constructivism. The meeting of theory and system realize in the practice, actual implementation. Before suggesting actual implementation, checklist for program design and case study of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at Younglim Middle School, Seoul is reviewed to figure out feasibility of CBI in Korean setting. Finally, this thesis suggests the CBI program development. Level-differentiated classroom is embodied by two ways; one is diversifying tactics within a theme unit and the other is modifying existing textbook. For independent activity, Korean English Teachers group have made sample lesson plan using Theme-based instruction. CBI in after-school program is represented by creating a theme-based program which uses the movie ‘Bend It like Beckham’ as a source of themes.

more

목차

언론에 발표되는 교육 당국의 정책을 살펴보면 영어교육이 이 나라의 당면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영어 교육에 관심이 집중되어있다. 그리고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질타할 때 면, ''10여 년 영어공부 말 한 마디 못해'' 등 의사소통과는 유리된 영어 교육현장을 지적한다.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교육이 우리나라의 교육적 현실, 특히 학교라는 제도 속에서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의 고민과 더불어 영어를 취업이나 출세와 관련짓지 말고, 영어 그 자체로 즐겁게 공부할 수는 없을까 하는 의문에서부터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의사소통중심 접근법을 구현하는 여러 영어교육방법론 중에서 내용중심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을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용중심교수법에 대해 그 정의와 제2언어습득연구, 동기와 흥미, 기존에 실시한 내용중심접근의 교육의 결과 등의 측면에서 이론적 타당성을 밝혔다. 교과목과 제 2언어 교수를 결합시키는 내용중심 교수법은 학습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언어 출력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교과를 목표언어로 교수하기 때문에 내재적 동기 및 흥미 유발에 용이하다. 내용 중심 교수법의 구현은 몰입(Immersion model), 내용보호(Sheltered model), 주제중심언어교수(Theme-based model), 병존언어교수 (Adjunct model)등으로 다양한데, 여러 사례에서 학습자의 제2언어 유창성과 교과목 지식의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법 이론이 이론에만 그치면 무용지물이라는 생각으로 그 이론의 현장 적용을 꾀하고자 우리나라 교육 체계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교육 체계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수준별 이동 수업과 재량활동의 확대 측면, 그리고 7차 교육과정 각론에 해당하는 외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중심의 외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탐구해 보았다. 내용중심접근법과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아이디어와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 그리고 구성주의에 입각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이러한 공통점을 바탕으로 내용중심교수법의 실제 적용은 어느 측면에서 가능할지 그 적용가능성을 고찰해 본 결과, 기존 수업에서 교과서를 변용하여 수준 차와 주제 중심 언어교수를 반영하는 방법과 교과 재량활동에 도입하는 법, 보다 적극적으로는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내용중심교수법을 도입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론과 제도적 측면과의 만남은 실제 교실에서 교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데, 이를 도모하기 위해서 내용중심접근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의 유의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내용중심접근법의 실제 적용을 위해 수준별 이동 수업, 재량활동,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