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Q” 트리: M-트리와 쿼리 트리 기반 하이브리드 인덱스 구조
The ”M+Q” tree:M-tree augmented with Query tre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정성원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82161
- UCI I804:11029-00000008216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5
제 2 장 관련 연구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8
2.1 저차원 공간에서의 하이브리드 인덱싱 기법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8
2.2 고차원 공간에서의 하이브리드 인덱싱 기법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9
제 3 장 M-tree와 Query-tree 기반 하이브리드 인덱스 구조 ᆞᆞᆞᆞᆞᆞᆞᆞᆞ 11
3.1 기존 범위 질의 기반의 Query-tree 생성 ᆞᆞᆞᆞᆞᆞᆞᆞ 13
3.1.1 기존 범위 질의 포함관계 측정 ᆞᆞᆞᆞᆞᆞᆞᆞᆞ 13
3.1.2 포함관계 기반 Query-tree 구축 알고리즘 ᆞᆞ 14
3.2 Query-tree 질의 처리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18
3.2.1 포함 기반 질의 처리 알고리즘 ᆞᆞᆞᆞᆞᆞᆞ 18
3.2.2 단일 노드에 포함될 경우 질의 판별 ᆞᆞᆞ 19
3.2.3 다중 노드에 포함될 경우 질의 판별 ᆞᆞᆞ 21
3.3 모델 구조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25
3.3.1 M+Q-tree 인덱스 아키텍처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26
3.3.2 질의 처리 프로세스 흐름 ᆞᆞᆞᆞᆞᆞᆞᆞ 26
3.3.3 구성 요소별 역할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27
제 4 장 실험 및 성능 평가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29
4.1 실험 환경 및 데이터셋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29
4.2 평가 지표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31
4.3 성능 평가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32
4.3.1 인덱스 구축 시간 비교 ᆞᆞᆞᆞᆞᆞᆞᆞ 32
4.3.2 질의 처리 시간 비교 ᆞᆞᆞᆞᆞᆞᆞᆞ 33
4.3.3 데이터 규모 및 질의 분포에 따른 성능 변화 ᆞᆞᆞᆞᆞᆞᆞᆞ36
4.3.4 저장 공간 효율성 비교(Storage Overhead) ᆞᆞᆞᆞᆞᆞᆞᆞ38
제 5 장 결 론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41
참고문헌 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ᆞ 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