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a Life of Its Own” : The New Materialistic Assemblage Agency of the House in Nathaniel Hawthorne’s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너새니얼 호손의 『일곱 박공의 집』에 나타난 핀천 저택의 신유물론적 배치 행위성
- 주제어 (키워드) 작가 , 작품 , 신유물론 , 제인 베넷 , 배치 , 비인간 주체 , 물질 행위성 , 신유물론 내러티브 , Nathaniel Hawthorne ,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 new materialism , Jane Bennett , assemblage , nonhuman agents , material agency , new materialistic narrativ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기윤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81920
- UCI I804:11029-000000081920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논문은 너새니얼 호손(Nathaniel Hawthorne)의『일곱 박공의 집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에 등장하는 핀천 저택(Pyncheon House)이 어떻게 제인 베넷(Jane Bennett)이 제시하는 신유물론적 배치(new materialistic assemblage)로 재해석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동시대 연구들은 호손의 저작 시기에 존재하던 미국 사회와 관련된 인간 중심적 주제를 추론하던 기존의 비평 전통에 반박하고 있으나, 여전히 자연 대 문화(nature versus culture)의 이분법에 기초하여 집이라는 공간을 설명하는 경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논문은 그러한 이분법적 구분을 탈피하고 핀천 저택에 존재하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해석을 전제하여, 인간이나 동물, 자연뿐만 아니라 인공적 사물 또는 비가시적인 기후 등의 요소 또한 집을 구성하는 행위소(actant)에 해당함을 증명한다. 행위성(agency)을 띠는 다양한 행위소가 배치 안에서 존재론적 위계 없이 공존함을 가정하며, 본 논문은 각 챕터에서 상점(cent-shop)과 정원을 배치가 형성 및 기능하게 되는 주요 장소로 규정하고 탐구한다. 신유물론적 배치는 개별 개체를 집합체로 흡수하며, 이 집합체는 소설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변화시키는 힘을 생성한다. 기존에는 작중의 사건들이 인과응보적 성격을 지닌 시적 정의(poetic justice)로 설명되었던 반면, 이 논문은 줄거리의 궤적을 변화시키는 해당 사건들이 인간을 위한 어떠한 의도성도 띄지 않으며 배치의 행위로 파생되는 무작위한 결과임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호손의 소설이 문학적 내러티브를 탈인간적 상호작용 과정으로 재구성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문학 텍스트의 신유물론적 행위성을 재고하는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the Pyncheon House in Nathaniel Hawthorne’s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1851) can be reconfigured as a new materialistic assemblage. While the current criticism increasingly counters the tradition of extracting anthropocentric themes related to the American society at Hawthorne’s time, it still largely adheres to the enduring tendency to distinguish the house in either/or categorization of human nature versus endemic nature. Basing the claim on the need to synthesize both human and nonhuman influences on the place, this thesis applies Jane Bennett’s concept of new materialistic assemblage agency: to incorporate not only the human, animals, and nature, but also the artificial material objects and invisible factors such as climate or time as well, as part of the constituents of the house. Positing that they altogether exist as the ontological collective, I focus on the cent-shop and the garden of the house as the sites of assemblage formation and function in respective chapters. Absorbing the individual entities into the collective, the assemblage creates the force in the narrative that can alter the whole trajectory of the plot. While critics have traditionally characterized the main plot events involving human characters as the literary manifestation of poetic justice, I redefine what may seem to humans as a pleasant incident as, in fact, devoid of any intentionality and happening arbitrarily as the result of the assemblage’s work. Gesturing towards the possibility of the assemblage’s existence that may be found in other locations in the Pyncheon House and, by extension, in other works by Hawthorne, this thesis ultimately aims to contribute to the Hawthornean scholarship by proffering the perspective that considers human ontology within the multiplicity of interrelated networks of beings.
more목차
국문초록 ii
Abstract iii
Introduction 1
Chapter 1. Where Every Matter Meets: The Narrative-Driving Power of the Cent-Shop as an
Agential Assemblage 20
Chapter 2. The Power of “Entanglement and Confusion”: The Destabilization of the
Anthropocentric Narrative through the Pyncheon Garden’s Assemblage 50
Conclusion 78
Works Cited 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