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댓글에 나타난 언론 비판 인식 연구 : 세월호·조국 사태 보도에 대한 댓글 유형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a Criticism in the Comment of the Article: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comments on the Sewol ferry and the report on the situation of Cho Kuk]
- 주제어 (키워드) 언론 , 신뢰도 , 댓글 , 기레기 , 전문직업주의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균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870
- UCI I804:11029-00000007987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뉴스 이용자들의 언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퍼지게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는 단순한 비판을 넘어 ‘기레기’라는 비하에 가까운 멸칭이 쉬이 쓰이는 상황에까지 이르렀고, 이에 언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 또한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비판 인식의 이면에는 역설적으로 언론에 대한 기대가 담겨있다. 언론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는 의견 속에는 언론 혹은 기사라면 이러해야 한다는 이용자의 시각이 드러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언론에 대한 비판의 이면에는 역으로 언론에 대한 이용자들의 기대치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러한 기대를 찾아내는 과정이 현재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한 언론 불신의 해결을 위한 과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장 직접적으로 기사와 언론에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공간이자 수단인 댓글의 분석을 통해 뉴스 이용자들이 언론을 비판하는 지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어떠한 기대에서 비판을 가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진행은 기사 댓글의 유형화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뉴스 이용자들 사이에서 언론 비판 인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단어인 ‘기레기’라는 표현이 등장한 시기인 세월호 사태와 이 표현이 확산된 시기인 조국 사태의 기사에 작성된 댓글을 대상으로 하였고, 댓글의 분류는 이용자들의 비판점이 언론의 전문성과 맞닿아 있는 점을 주목하여 전문성에 대한 분류를 정확성과 객관성, 공공성과 뉴스 가치의 4가지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이용자 개인이 가진 정치적 성향에 의한 무분별한 비판 또한 존재함을 확실히 하기 위해 이용자 개인의 정파성에 의해 작성된 비판 댓글도 편향성에 대한 지적과 정파성에 대한 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외에도 재난 사고와 정치적 사건이라는 두 사건의 차이에 따라서 댓글의 양상에서도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more목차
서론 1
본론 3
1. 언론 비판 담론 3
가. 온라인 저널리즘과 뉴스 이용자 4
나. 댓글과 온라인 담론 공간 7
2. 뉴스 이용자와 언론 전문 직업주의 9
가. 전문 직업주의(Professionalism) 9
나. 언론과 전문 직업주의 10
다. 뉴스 이용자와 언론 전문 직업주의 12
라. 뉴스 이용자와 정파성 14
3. 담론 형성 집단의 유형 및 특징 17
가. 신뢰도 비판 담론집단 17
1) 언론의 신뢰도 19
2) 신뢰도 비판 담론집단 21
나. 정치적 입장에 따른 비판 담론집단 23
1) 정파성 24
2) 정치 '팬덤화' 26
연구 문제 및 방법 28
연구 결과 34
결론 및 논의 61
참고문헌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