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장치 수용이론(AIDUA) 관점을 적용한 생성형 AI 수용과 수용 거부에 관한 연구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 study on user acceptance and rejection to accept generative AI based on AIDUA model: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mpt engineering
- 주제어 (키워드) 생성형 AI , 인공지능 장치 수용이론 , AIDU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현대원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메타버스전문대학원 메타버스비즈니스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857
- UCI I804:11029-00000007985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생성형 AI 수용과 거부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AIDUA 모델을 기반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AIDUA 모델은 기존 기술수용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감정적 요인을 기술 수용과 거부 과정의 핵심 변수로 설정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요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수용 의도와 거부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역량은 기술의 성과 기대와 노력 기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수용 의도와 거부 의도에 중요한 변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기술수용모델에 대한 확장을 시도하고, 실무적으로는 생성형 AI 기술 도입 전략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ore목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1
제 2절 연구의 필요성 3
제 2장 이론적 배경2 7
제 1절 생성형 1 AI 7
1. 이해 및 정의 7
2. 주요 기술 7
3. 초거대 AI 모델로의 발전 배경 10
4. 적용 분야 12
5. 관련 연구 17
제 2절 기술 수용 모델 21
1. 기술수용모델의 등장 배경1 21
2. 관련 주요 이론 23
제 3절 AIDUA 모델 29
1. AIDUA모델의 이론적 배경 29
2. 단계별 구성 요소 30
제 4절 AI 리터러시 33
제 5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37
1. 개념 및 활용 37
2. 프롬프트 리터러시 40
제 3장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2
제 1절 연구 모형 42
제 2절 연구 가설 42
제 4장 연구방법4 47
제 1절 자료수집 및 조사대상자 47
제 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문항 48
제 5장 연구결과5 52
제 1절 기술 통계 및 자료의 정규성 52
제 2절 탐색적 요인분석 54
제 3절 확인적 요인분석 57
제 4절 모형적합도 60
제 5절 연구가설의 검증 60
제 6절 조절효과 모형 효과 검증 62
제 6장 논의 및 결론 71
제 1절 연구요약 71
제 2절 논의 71
제 3절 시사점 79
제 4절 한계 및 향후 연구 제안 84
참고문헌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