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시점 전환이 사회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 VR 애니메이션 영화 “The Stones”의 제작과 연구
The Impact of Perspective Shifting on Social Empathy in Virtual Reality Content : Production and Study of the VR Animated Film "The Stones"
- 주제어 (키워드) VR , 가상현실 , 공감 , 사회적 공감 , 애니메이션 , 영화 , social empathy , virtual reality (VR) , perspective shifting , animation , presence , contextual real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상용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아트&테크놀로지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685
- UCI I804:11029-00000007968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콘텐츠에서 시점 전환이 사회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VR 애니메이션 영화 “The Stones”를 제작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기존 미디어는 관객이 사회 문제를 인지하도록 돕는 데 효과적이었으나, 주로 동정 (Sympathy)에 그치며 진정한 공감(Empathy)을 형성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관객이 타인의 경험에 깊이 몰입하고 공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맥락적 현실 (Contextual Reality) 개념을 제안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시점 전환 장치를 도입하였다. 연구의 핵심은 은둔 청년의 삶과 심리적 어려움을 주제로 한 VR 영화 “The Stones”에서 시점 전환 장치를 통해 관객이 관찰자에서 주인공으로 변화되는 경험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관객의 공감적 반응을 실험하는 것이다. 평가는 7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VR 영화 관람 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주체적 시점에서의 VR 경험이 관객의 공감 형성을 증대시키고, 단순한 인지적 이해를 넘어 행동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VR의 현존감(Presence)과 맥락적 현실 속에서 관객이 주체적으로 서사를 경험할 때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은 공감과 감정적 몰입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perspective shifting in virtual reality (VR) content on fostering social empathy by producing and evaluating the VR animated film The Stones. Traditional media have been effective in raising awareness of social issues, but their impact often remains limited to eliciting sympathy rather than fostering genuine empathy.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contextual reality, which deeply immerses audiences in the experiences of others to cultivate empathy, and implements this concept through a perspective-shifting mechanism. The core of this research lies in providing audiences with the experience of transitioning from an observer to the protagonist in “The Stones”, a VR film that portrays the lives and psychological struggles of reclusive youths. The study examines the empathetic responses of the audience facilitated by this perspective-shifting mechanism.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articipants following their VR experience. The findings reveal that VR experiences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enhance empathy formation and have the potential to inspire behavioral changes beyond mere cognitive understanding. This suggests that when audiences engage with narratives from an active and subjective perspective within the presence of VR and Contextual Reality, it can foster profound empathy and emotional engagement with social issues.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for developing VR-based content aimed at addressing and resolving societal problems.
more목차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 방법 및 목적 3
제 2 장 선행 연구 5
2.1 이론적 배경 5
2.1.1 공감(Empathy)과 이타적 행동 5
2.1.2 영화와 사회적 의식 변화 6
2.2 가상현실(VR)과 공감 7
2.2.1 공감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지각적 환상 7
2.2.2 가상현실(VR)의 신체 소유감 사례 8
2.2.3 서사의 주체와 사회적 공감 사례 9
2.3 본 연구의 차별 점 11
제 3 장 THE STONES 11
3.1 시놉시스 11
3.1.1 작품 의도 11
3.1.2 맥락적 현실(Contextual Reality)과 상징물 12
3.1.3 트리트먼트 13
3.1.4 시나리오 14
3.2 공간 표현 22
3.2.1 공간의 왜곡 22
3.2.2 초현실적 공간 23
3.3 시점 전환 24
3.3.1 관찰자 시점 25
3.3.2 주인공 시점 26
3.4 인터랙션 디자인 27
3.4.1 달리기 27
3.4.2 바위 부수기 27
3.5 VR 애니메이션 제작 29
3.5.1 디자인 29
3.5.1.1 캐릭터 디자인 29
3.5.1.2 공간 디자인 30
3.5.2 가상현실 개발 33
3.5.2.1 가상 공간 설계 33
3.5.2.2 애니메이션 제작 36
3.5.2.3 인터랙션 설계 37
3.5.3 최종 작품 38
제 4 장 평가 40
4.1 평가 계획 40
4.2 평가 진행 42
4.3 평가 결과 분석 44
4.3.1 데이터 코딩 44
4.3.2 결과 분석 47
제 5 장 논의 52
5.1 연구의 해석 및 의미 52
5.2 연구의 한계 53
5.3 미래 연구 방향 54
제 6 장 결론 및 기대효과 54
6.1 결론 54
6.2 기대효과 56
참고문헌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