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셸 푸코, 비판으로서의 철학

Michel Foucault, Philosophy as Critique

목차

Ⅰ. 서론 1
Ⅱ. 푸코의 방법론 8
1. 고고학: 지식의 현존으로부터 그 가능 조건으로 8
1.1. 고고학(archologie)의 계보 8
1.2. 푸코의 고고학 1: 가능 조건에 대한 분석 9
1.3. 고고학들 14
1.4. 푸코의 고고학 2: '지식'의 고고학 20
1.5. 지식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고고학 25
2. 계보학: 유래와 발생에 대한 탐구 27
2.1. 니체와 푸코 27
2.2. 유래에 대한 탐구로서의 계보학 28
2.3. 발생에 대한 탐구로서의 계보학 35
2.4. 푸코 계보학의 발생지 39
3. 계보학의 효과와 고고학과의 분별점 41
3.1. 고고학과 계보학 41
3.2. 권력-지식 복합체 43
3.3. 현재의 유래 48
3.4. 고고학적인 동시에 계보학적인 연구 56
Ⅲ. 푸코의 문제: 자발적 예속화와 저항의 가능성 58
1. 권력 분석의 귀결: 자발적 예속화 58
1.1. 8년간의 공백 58
1.2. 세 가지 권력의 메커니즘: 사법, 규율, 안전 59
1.3. 자발적 예속화 문제 67
1.4. 능동적 주체화 양식에 대한 탐구 71
2. 푸코 사유 체계에서 자유의 위상 80
2.1. 자유: 권력 분석의 전제이자 목표 80
2.2. 지식의 고고학 시기의 자유: 소실(消失) 82
2.3. 권력의 계보학 시기의 자유: 권력-자유 복합체 86
2.4. 윤리의 계보학 시기의 자유: 제한적 참조 모델 91
Ⅳ. 푸코 이후 95
1. 들뢰즈의 푸코 95
1.1. 남겨진 문제 95
1.2. 지식에서 권력으로 96
1.3. 권력에서 주체화로 100
1.4. 푸코 '철학'의 완성 105
1.5. 발리바르의 비판: 푸코 사유의 형이상학화 109
1.6. 바깥 없는 초상 114
2. 푸코와 철학 118
2.1. 두 번째 아포리아: 재코드화 118
2.2. 철학을 향한 시도: 비-철학으로부터 비판적 태도로 121
2.3. 미래의 철학: 우리 자신에 대한 비판적 존재론 129
2.4. 철학의 탄생: 자기 배려와 자기 인식 138
2.5. 철학자 모델 146
3. 푸코 철학의 한계-조건 154
3.1. 비판의 전제로서의 사유 154
3.2. 푸코 사유의 심급, 그리고 질서 157
3.3. 왕의 자리 164
3.4. 푸코의 한계 169
3.5. 또 다른 바깥의 가능성: 사드의 경우 173
3.6. 내재적 사유: 한계-조건 속에서의 사유 180
Ⅴ. 결론 184
참고문헌 1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