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심 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인식 명확성,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 효과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Among Novice Counselor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가지는 매개 역할과, 이러한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조절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상담 관련 대학원 재학 이상, 경력 3년 이내의 초심 상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3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 정서인식 명확성,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마음챙김의 상호작용이 초심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소진 예방 및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plored and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as well as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is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novice counselors residing in Korea who were either enrolled in or had completed graduate-level counseling programs and had less than three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Data from a total of 338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Additionally, mindfulnes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mindfulness as a key factor influencing psychological burnout in novice counselors,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burnout. Lastly, the study discussed its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이론적 배경 9
1. 사회부과 완벽주의 9
2. 심리적 소진 12
2. 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 14
3. 정서인식 명확성 17
3. 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인식 명확성 21
3. 2. 정서인식 명확성과 심리적 소진 23
4. 마음챙김 25
4. 1.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마음챙김 29
4. 2. 정서인식 명확성과 마음챙김 32
4. 3. 마음챙김과 심리적 소진 33
5. 사회부과 완벽주의, 정서인식 명확성, 심리적 소진, 마음챙김의 관계 35
III. 연구가설 및 모형 39
1. 연구 문제 39
2. 연구 모형 40
IV. 연구 방법 41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41
2. 측정도구 44
1)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44
2)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45
3) 심리적 소진 척도 46
4) 마음챙김 척도 47
3. 자료 분석 48
V. 연구 결과 49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변인 간의 상관 분석 49
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 효과 50
3. 사회부과 완벽주의, 정서인식 명확성,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 효과 53
VI. 논의 및 결론 62
참고문헌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