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 : 정서조절 목표와 긍정정서 가라앉히기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Goals and Dampening of Positive Affects

초록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목표와 가라앉히기의 순차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때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란 사회적인 상황에서 자신이 능력이 드러나고 긍정적 평가를 받는 것을 불편해 하는 경향을 의미하며,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사람들은 성취보다 갈등을 피하고자 하는 동기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정서조절 목표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이유로 이는 크게 쾌락적 목표와 도구적 목표로 구분되며,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을 예측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 목표와 긍정정서의 하향조절 전략인 가라앉히기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할 것이라 고 보고, 설정한 목표가 친쾌락적, 반쾌락적, 사회적 정서조절 목표 중 어떤 것인지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남녀 총 322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정서조절목표, 가라앉히기,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SPSS 29.0과 Mplus 8.7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목표(반쾌락적, 사회적)와 가라앉히기의 부분적인 순차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긍정적 평가에 대해 두려움이 클수록 긍정정서를 덜 느끼고 부정정서를 더 느끼기 위한 이유 혹은 사회적인 관계와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정서를 조절하려고 함으로써 긍정정서를 하향조절하여 사회불안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친쾌락적인 정서조절 목표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때 긍정정서를 더 느끼려는 목표가 적은 것이 아니라 긍정정서를 덜 느끼려는 목표가 많은 것이 문제시 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동기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조명했으며, 특히 긍정정서 조절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on social anxiety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goals and dampening among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refers to the tendency to be uncomfortable in social situations where one's abilities are revealed and positively evaluated. Individuals with enhance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re known to be more motivated to avoid conflict rather than achieve success. Emotion regulation goals include the motives for regulation emotion. They are categorized into hedonic goals and instrumental goals and are predictive of the us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emotion regulation goals and dampening, a down regulation strategy for positive emotion, would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emotion regulation goals Scale, dampening Scale, and social anxie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32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SPSS 29.0 and Mplus 8.7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partial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goals (contra-hedonic and social) and dampe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with a higher fear of positive evaluation experience less positive emotion and attempt to regulate their emotions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and a image, leading to down-regulation of positive emotions and the occurrence of social anxiety.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on the impact of emotion regulation, especially the regulation of positive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from a motivational perspective. Finally,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7
1. 사회불안 7
2.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8
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개념 8
2)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 10
3)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동기 11
3. 정서조절 목표 12
1) 정서조절 목표의 개념과 유형 12
2) 정서조절 목표와 정서조절전략 13
4. 긍정정서 조절 15
1) 긍정정서 조절의 역할 15
2) 긍정정서 가라앉히기와 사회불안 16
Ⅲ. 연구문제 및 가설 19
Ⅳ. 연구방법 22
1. 참가자 22
2. 측정도구 23
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23
2) 정서조절 목표 척도 24
3) 긍정정서 반응 척도 25
4) 사회 불안 척도 26
3. 자료분석 27
Ⅴ. 결과 29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9
2. 측정모형 검증 31
3. 연구모형 분석 34
4. 매개효과 검증 37
Ⅵ. 논의 39
1. 결과 요약 및 논의 39
2.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6
참고문헌 4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