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스크립트 패턴 군집화를 이용한 구조적 분석과 활용
Structural Analysis and Applications of Bitcoin Script Patterns Using Clustering
- 주제어 (키워드) 비트코인 , 스크립트 , 패턴 , bitcoin , script , patter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AI.SW대학원
- 지도교수 박수용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AI.SW대학원 블록체인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519
- UCI I804:11029-00000007951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비트코인 스크립트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패턴 군집화를 통해 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비트코인 스크립트는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트랜잭션의 조건을 정의하고 실행하며 네트워크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스크립트의 복잡성과 데이터 중복성은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운영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스크립트 패턴의 체계적 분석과 군집화를 통해 네트워크 효율성을 개선하고 데이터 관리 부담을 완화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트리 기반 패턴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스크립트의 의미 있는 패턴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패턴 추출 대상인 opcode 길이가 4개 이상의 스크립트 중 92%가 특정 패턴에 속하며, 이는 데이터의 높은 정형성을 나타낸다. 또한, 스크립트 데이터의 중복성을 줄이고 압축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여, 평균 2.19%의 데이터 저장 공간 절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같은 고급 기능에서 활용되는 복잡한 스크립트 구조를 패턴화함으로써 비트코인 스크립트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트코인 스크립트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설계 방향을 제시하며, 개발자와 운영자들에게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스크립트 구조 분석과 패턴 기반 접근법을 통해 데이터 관리와 향후 도입될 스크립트까지 패턴화가 가하며 제안된 트리 기반 알고리즘과 데이터 압축 기법은 복잡한 스크립트 구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이로써 비트코인 생태계의 기술적 성숙도와 응용 가능성을 한층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itcoin scripts and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m through pattern clustering. Bitcoin scripts, as a core component of decentralized financial systems, define and execute transaction conditions, thereby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maintaining the integrity and trust of the network. However, the complexity and redundancy of these scripts pose challenges to the scalabil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network. Consequently, a systematic analysis and clustering of script patterns have become imperative to enhance network efficiency and alleviate data management burdens. To address this, the study proposes a tree-based pattern extraction algorithm to effectively identify meaningful script patterns and improve network efficiency. The findings reveal that 92% of scripts with opcode lengths of four or more belong to specific patterns, highlighting the high regularity of the data. Additionally, the proposed approach reduces script data redundancy and enhances compression efficiency, achieving an average data storage savings of 2.19%. Furthermore, by clustering the complex script structures employed in advanced functionalities such as the Lightning Network, the study expand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Bitcoin scripts. These results provide critical insights into maximizing the utility of Bitcoin scripts and offer a design direction for developers and operators to optimize their application.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scripts and a pattern-based methodolog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ven complex script structures can be effectively managed using the proposed tree-based algorithm and data compression techniques. This approach enhances the technological maturity and applicability of the Bitcoin ecosystem,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its evolution and broader potential applications.
more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2
제 3 절 연구 목표 4
제 2 장 배경지식 7
제 1 절 비트코인 트랜잭션의 구성 7
제 2 절 비트코인 스크립트 10
제 3 절 현재 비트코인 코어의 데이터 저장 방식 16
제 3 장 관련 연구 18
제 1 절 스크립트 결함 패턴에 관한 연구 18
제 2 절 스토리지 효율성에 관한 연구 21
(1) 비트코인 프루닝 (Pruning) 21
(2) SPV(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 노드 22
(3) DHT 클러스터링 23
(4) 샤딩(Sharding) 24
(5) 사이드체인(Sidechain) 26
(6) 트랜잭션 데이터 압축 기법 27
(7) 압축 다중서명 기법 28
제 3 절 기존 연구와 제안 방식의 비교29
제 4 장 비트코인 스크립트 패턴 추출 기법 31
제 1 절 비트코인 스크립트 패턴 추출 개요 31
(1) 데이터 샘플링 방법론 31
(2) 블록 데이터 추출 및 파싱 31
(3) 트랜잭션 추출 및 파싱 33
(4) 스크립트 파싱 34
제 2 절 스크립트 패턴 분석 알고리즘 36
(1) 기본 자료구조 36
(2) 트리 그래프 구축 알고리즘 38
(3) 빈도 계산 알고리즘 39
(4) 노드 필터링 알고리즘 39
제 5 장 실험 결과 및 분석 43
제 1 절 실험 환경 43
제 2 절 실험 가설 44
(1) 표준 스크립트 패턴의 포괄적 식별 44
(2) 스토리지 최적화 효과 45
(3) 복잡한 스크립트의 영향도 45
(4) 새로운 리딤스크립트/증인스크립트 패턴 발견 46
(5) 개발자 생산성 향상 47
제 3 절 패턴 추출 결과 48
(1) 발견된 주요 스크립트 패턴 50
(2) 스크립트 해석 57
(3) 결론 58
제 4 절 압축 성능 평가 60
(1) 임계값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절감률 추이 60
(2) 시간 경과에 따른 고급 스크립트의 데이터 절감량 추이 61
(3) 결론 63
제 5 절 개발 생산성 평가 65
(1) 객관식 문항 및 응답 결과 65
(2) 주관식 문항 및 응답 결과 66
(3) 결론 67
제 6 장 결론 및 향후 연구 68
제 1 절 결론 68
제 2 절 한계점 70
제 3 절 향후 연구 71
참고문헌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