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의 효과적인 사회 참여를 위한 다자간 통합 플랫폼 구축에 관한 제언
- 주제어 (키워드) 은퇴자 , 액티브 시니어 , 시니어 비즈니스 , 사회참여 , 4고 문제 , 4고 상호 연관성 , 4고 우선순위 , 4고 유형별 세그먼트 , 다자간 통합 플랫폼 , retirees , active seniors , senior business , social participation , 4 hardships(Poverty , Disease , Loneliness , Rolelessness) issues , 4 hardships interconnections , 4 hardships priorities , segments by 4 hardships type , multi-party integration platfor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전성률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508
- UCI I804:11029-00000007950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4
Ⅱ. 본 론 5
1. 인구변화 관점에서 한국의 현황 5
1-1. 한국의 인구변화 전망 5
1-2. 초고령사회의 정의 및 한국 현황 7
1-3. 초고령사회의 주요 문제점 8
1-3-1. 사회적 이슈 9
1-3-2. 경제적 이슈 14
2. 은퇴자 관점에서 주요 이슈 20
2-1. 4고의 정의와 출현 배경 20
2-2. 4고와 관련된 선행연구 24
2-3. 4고의 상호 연관성 26
2-4. 시사점 29
3. 은퇴자의 역할과 사회 참여 33
3-1. 은퇴자 사회활동 관련 사회적 트렌드 33
3-1-1. 개인의 가치관 변화 33
3-1-2. 긱이코노미 (Gig Economy) 확대 기조 38
3-1-3. 제론테크놀로지(Gerontechnology)의 등장 44
3-1-4.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47
3-2. 은퇴자의 역할과 기회 49
3-2-1. 사회적 관점에서 은퇴자의 중요성 50
3-2-2. 경제적 관점에서 은퇴자의 중요성 51
3-3. 은퇴자의 사회참여 유형 57
3-3-1. 사회참여 유형으로서 경제활동(창업 및 재취업 중심) 60
3-3-2. 사회참여 유형으로서 비경제활동(여가 및 사회활동) 62
3-3-2-1. 여가문화활동 62
3-3-2-2. 여행 66
3-3-2-3. 학습활동 68
3-3-2-4. 자원봉사활동 70
3-3-2-5. 사회단체활동 72
3-3-2-6. 종교활동 75
3-3-2-7. 시니어가 생각하는 현재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 78
4. 은퇴자 사회참여를 위한 다자간 통합 플랫폼 제안 80
4-1. 은퇴자의 사회참여 의의 80
4-2. 통합 플랫폼 참여 주체 83
4-3. 각 주체별 은퇴자 사회참여 사례연구 86
4-3-1. 정부 정책 및 공공기관 플랫폼 관련 사례 86
4-3-1-1. 일본 정부 정책 86
4-3-1-2. 미국 정부 정책 93
4-3-1-3. 영국 정부 정책 96
4-3-1-4. 프랑스 정부 정책 98
4-3-1-5. 한국 공공기관 플랫폼 100
4-3-1-6. 플랫폼의 최적 요건 106
4-3-1-7. 시사점 111
4-3-2. 기업 관련 사례(일본) 119
4-3-2-1. 정년 후 재고용 기업사례(가지마, 디스코) 119
4-3-2-2. 동일노동 동일임금 대응 사례(메이지야스다) 121
4-3-2-3. 역할 중심의 직급체계 간소화(토요타) 122
4-3-2-4. 생애설계 교육 및 커리어 전환기회 제공(소니) 124
4-3-2-5. 시사점 125
4-3-3. 교육기관 관련 사례 128
4-3-3-1. 독일 시민학교(Volkshochschule) 128
4-3-3-2. U3A(University of the Third Age) 130
4-3-3-3. 서울시 중장년 맞춤 직업교육 개발 133
4-3-3-4. 시사점 134
4-3-4. 지역사회 관련 사례 136
4-3-4-1. 미국 Senior Center 136
4-3-4-2. 영국 Circle 138
4-3-4-3. 일본 Silver Human Resource Center 141
4-3-4-4. 일본 노년 여성들이 만든 '다세대 공생형 커뮤니티' 142
4-3-4-5. 춘천시 골든실버 도시계획 144
4-3-4-6. 시사점 145
4-3-5. 은퇴자 개인의 퍼스널 브랜딩 및 자기계발 사례 147
4-3-5-1. 퍼스널 브랜딩 툴, LinkedIn 149
4-3-5-2. 역량개발을 지원하는 Coachhub 150
4-3-5-3. 관심사 기반 커뮤니티 모임 Munto 152
4-3-5-4. 시사점 155
4-4. 다자간 통합 플랫폼 제안 157
4-4-1. 다자간 통합 플랫폼의 필요성 157
4-4-2. 다자간 통합 플랫폼 비즈니스 설계 158
4-4-2-1. 4고 문제의 우선순위 158
4-4-2-2. 사업방향 160
4-4-2-3. 은퇴자 유형 세분화 163
4-4-2-4. 세그먼트 서비스별 운영주체 (정부주도 vs 민간주도) 168
4-4-2-5. 4고 문제해결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 프레임워크 170
4-4-2-6. 세그먼트 서비스별 비즈니스 모델 제안 172
4-4-2-7. 시니어 대상 비즈니스 모델 확대 방향 제언 187
Ⅲ. 결 론 189
1. 주요 결과 요약 189
2. 학문적 의의 및 연구의 한계 193
3. 향후 연구과제 197
참고문헌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