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급 업체의 기업 개성이 협력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구매 업체 관점에서 국내 주요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Personality on Coope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sights from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기업 개성의 하위 요인들이 공급사슬 내 협력 관계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가 주로 소비자와의 관계에서 기업 개성의 역할을 다루었던 반면, 본 연구는 이를 기업 간 관계로 확장하여 이론적 틀을 심화하였다. 기업 개성의 핵심 요인인 유능함, 역동성, 매력성, 친근감이 협력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협력 관계가 기업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제조업 구매관리자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개성 요인 중 유능함, 역동성, 친근감은 협력 관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력성은 협력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국내 제조업에서 차별화된 매력성보다는 전문성, 진취적 태도, 신뢰와 공감대 형성이 협력 관계 형성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협력 관계는 기업 성과, 특히 수익성, 매출 증가, 경쟁력 향상, 장기 성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견고한 협력 관계가 단기적인 성과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기업 개성이 협력 관계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급사슬 협력과 성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확장하였다. 또한, 기업들이 협력 전략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성과 극대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sub-dimensions of corporate personality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in supply chains and corporate performance. While previous research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ole of corporate personality in consumer relationships, this study extends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inter-firm relationships.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key factors of corporate personality—competence, dynamism, attractiveness, and familiarity—affect the formation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se relationships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To validat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89 purchasing managers from domestic manufacturing firms,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rporate personality factors, competence, dynamism, and familiar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However, attractive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aboration. This suggests that in the context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professionalism, proactive attitudes, and building trust and empathy play a more crucial role in form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han differentiation through attractiveness. Secon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particularly in profitability, revenue growth, competitiveness, and long-term sustainabilit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pivotal role of robust collaborative relationships not only in achieving short-term outcomes but also in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corporate personality on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Furthermore, it offers practical- 56 implications by providing actionable insights for firms to enhance their collaboration strategies and establish effective approaches to maximize outcomes.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2
제 1 절 연구배경 2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4
제 3 절 연구의 구성과 범위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제 1 절 기업 개성 7
1. 기업 개성 개념 7
2. 기업 개성 구성 요인 및 측정 10
제 2 절 공급사슬 협력 13
1. 협력의 개념 13
2. 공급사슬 협력 15
제 3 절 기업 성과 17
1. 기업 성과의 정의와 측정 17
제 3 장 연구설계 21
제 1 절 가설설정 21
1. 기업 개성 협력 21
1.1 유능함과 협력 간의 관계 22
1.2 역동성과 협력 간의 관계 22
1.3 매력성과 협력 간의 관계 23
1.4 친근감과 협력 간의 관계 23
2. 협력 기업 성과 24
제 2 절 연구모형 25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26
제 4 절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28
1.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28
2. 연구방법 28
제 4 장 실증분석 29
제 1 절 표본의 특성 29
제 2 절 측정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1
1. 신뢰성 검증 31
2. 타당도 검증 33
제 4 절 가설검증 36
제 5 장 결론 38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38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40
1. 학술적 시사점 40
2. 실무적 시사점 41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42
[참 고 문 헌] 4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