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북유럽 주요 신문 보도의 선정성 고찰 : 한국·핀란드·덴마크의 보수, 진보 신문의 강력범죄 보도를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the sensitivity of reporting in major newspapers in Korea and Northern Europe: Focusing on reporting on violent crimes i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in Korea, Finland, and Denmark]
- 주제어 (키워드) 선정성 , 강력범죄 , 범죄보도 , 정신질환 , 사회적 낙인 , sensational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임종섭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344
- UCI I804:11029-00000007934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북유럽 보수, 진보 신문의 강력범죄 보도를 중심으로 ‘보도 의 선정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 핀란드, 덴마크의 보수와 진보를 대표하는 신문인 <조선일보>, <한겨레>, <헬싱긴 사노마트>, <데모크라티>, <베를링 스케>, <윌란스 포스텐>에서 2020년 11월 1일부터 2024년 10월 31일 사이에 보도된 기사 49개를 대상으로 각 매체가 지닌 강력범죄 보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국내 정신질환 범죄 보도의 선정성’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정신질환자란 이유만으로 원인 모를 강력범죄의 피의자로 낙인 당하고 더욱 주목받는 사회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기사 뿐만 아니라 핀란드와 덴마크의 신문 기사와 한국 신문 기사에 나타난 요소들을 비교함으로써 차이점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고 한국 신문의 나아갈 길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언론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며 풀뿌리 정신으로 창립되고 있는 독립언론’에서도 긍정적인 모델을 찾아보고 독립언론에서만이 아닌 일반 언론에서도 실천 가능한 지침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more목차
1. 서론 1
2. 배경: 한국, 핀란드, 덴마크의 강력범죄 보도 사례 2
1) 북유럽 핀란드 보수‧진보신문의 강력범죄 보도 사례 3
2) 북유럽 덴마크와 핀란드의 쇼핑몰에서 발생한 강력범죄 보도 사례 4
3) 우리나라의 쇼핑몰에서 발생한 강력범죄 보도 사례 5
3. 이론적 고찰 5
1) 국내 강력범죄 보도의 선정성 6
2) 국내 정신질환 범죄 보도의 선정성 10
3) 북유럽 국가의 특성과 언론 환경 14
4) 핀란드와 덴마크: 조합주의 언론시스템 채택 19
5) 하이브리드 언론 모형과 언론 윤리성 강화 21
4.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3
1) 연구문제 23
2) 연구방법 26
2-1) 연구 대상과 자료 수집 27
2-2) 내용분석 28
5. 연구결과 31
1) 6개 신문 보도의 내용분석 결과 31
2) 강력범죄의 선정적 보도 극복을 위한 제언 43
6. 논의 및 결론 45
7. 연구의 한계 및 제안 50
참고문헌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