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에 관한 신정론적 고찰 : 요한 밥티스트 메츠의 정치 신학을 중심으로
Theodicy Study on Suffering: Focusing on the political theology of Johann Baptist Metz
- 주제어 (키워드) 고통 , 신정론 , 정치 신학 , 십자가 , 악; suffering , theodicy , political theology , crucifixion , evil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규성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신학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330
- UCI I804:11029-00000007933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목차
서론 1
1. 연구의 동기와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6
2.1. 메츠 정치 신학의 형성 배경과 주요 개념 6
2.2. 메츠 정치 신학의 신학적 장르와 구조 8
2.3. 본 연구의 차별성 9
3.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11
제1장 몰트만의 신정론 17
1.1. 하느님의 부재 17
1.2. 몰트만의 희망의 신정론 21
1.3.몰트만의십자가 삼위일체신정론 24
1.4.몰트만과케노시스연대 33
1.5. 몰트만과 성령론 38
1.6.몰트만 신정론의 지향점 42
1.7. 소결 47
제2장 메츠의 신정론 50
2.1. 메츠의 신학적 배경 50
2.2. 메츠와 초월 신학 54
2.3. 메츠 신학의 출현 58
2.4. 메츠와 블로흐, 벤야민과 프랑크푸르트 학파 61
2.5. 메츠의 묵시적 그리스도론 70
2.6. 메츠의 "우리의 희망"에 대한 이해 78
2.7. 메츠의 신학적 발자취 84
2.8. 소결 90
제3장 메츠의 정치 신학적 신정론 96
3.1. 메츠의 신정론적 질문 96
3.2. 메츠의 정치 신학적 신정론의 개념 98
3.3. 메츠 정치 신학의 기본 방향 100
3.4. 메츠의 하느님과 인간의 고난에 대한 삼위 일체적 담론 109
3.5.메츠의 정치 신학과 제2차 바티칸공의회 113
3.6.메츠의 신정론적 기억과 언어 119
3.7. 메츠의 종말론적 지향으로서의 정치적 신정론 127
3.8. 메츠의 성경적 틀의 정치 신정론: 하느님께 고난받는 신비주의 129
3.9. 소결 133
4장 메츠 정치 신학의 비판적 이해와 의의 139
4.1. 예수의 십자가 수난에 대한 신정론적 관점 139
4.2. 메츠의 정치 신학적 신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144
4.3. 정치 신학의 모델로서의 케노시스 161
4.4.정치 신학의 실천(사회의 고통에 대한 성찰) 163
4.5. 소결 165
결론 173
ABBREVIATIONS 177
참고문헌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