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보 텍스트 교수 학습에 대한 국어과 교사들의 인식 조사 : EBS 수능 연계교재 ‘독서’ 영역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formational Text : Focusing on the 'Reading' section of the EBS SAT practice test book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학생들의 정보 텍스트 읽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학문 문식성 관점의 독서 교수 학습 방식에 대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능 연계교재를 활용한 학문 문식성 관점의 교수 학습 방법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독서 교육의 목표와 현실적인 독서 수업의 모습을 확인하고, 둘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교사들의 현실적인 대안 중 ‘수능 연계교재’를 활용한 수업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능 연계교재를 활용한 정보 텍스트 수업에서 학문 문식성 관점의 교수 학습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고 개인 인터뷰와 표적 집단 인터뷰(FGI)를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본 연구자와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5명의 국어 교사와 1명의 교육실습생을 선정하였다. 약 한 달 반 동안 6명의 교사 및 교육실습생과 개인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교육실습생을 제외한 5명의 교사와는 개인 인터뷰에 이어 FGI를 실시하였다. 이후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수능 독서 연계교재에 대한 인식과 이를 활용한 독서 수업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독서 교과서에 버금가는 지위를 갖는 수능 독서 연계교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정보 텍스트 읽기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매해 최신의 다양하고 시의적절한 정보 텍스트가 수록되는 ‘수능특강’의 특징을 활용하여 학문 분야별 읽기 교수 학습 방안을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고난도 정보 텍스트 독해를 위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이 지점에서 교사들이 학문 문식성 관점을 수용할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들은 여전히 내용 영역 문식성 관점의 ‘보편적 읽기 전략’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고난도 정보 텍스트의 등장으로 인해 학문 문식성 관점의 ‘학문 분야별 읽기 교수 학습 방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단계별 문식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도 공감하고 있다. 셋째, 학문 문식성 관점의 읽기 교수 학습 방법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입시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현장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특히, 수능의 난도를 낮추어 평가에 대한 부담이 경감된다면 학문 문식성 관점의 교수 학습 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표본이 적다는 한계가 있고, 특히 학교급(일반계고, 특수목적고, 자율형 사립고 등) 간의 차이 및 지역별 차이를 밝히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수능 연계교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확인하지 못한 점 역시 본 연구의 한계이다. 무엇보다 학문 문식성 개념의 교수 학습 방식에 관한 연구가 아직 진행 중인 상황이기에 고난도 정보 텍스트 독해에 있어서 학문 문식성 관점의 교수 학습 방법이 과연 보편적 읽기 전략의 한계를 해결할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가 남아 있는 것 역시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독서 교육에 있어서 학문 문식성 개념의 도입 가능성을 알아보는 과정의 일환으로, 현장 교사들의 ‘학문 문식성’ 개념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등학교 3학년 독서 수업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EBS 수능 연계교재 ‘독서’ 영역에 대한 국어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수능 연계교재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특히 학문 문식성 기반의 교수 학습 방안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cademic literacy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reading, which is emerging as a way to strengthen students' ability to read informational texts,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academic literacy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using SAT-linked textbooks.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teachers' ideal reading education goals and realistic reading classroom practices, examined teachers' realistic alternativ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and examined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using 'SAT-linked textbooks', and then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an academic literacy perspective in informational text classes using SAT-linked textbook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targeted group interviews (FGI) were combin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ive language teachers and one teaching practicum student working in the same school as the researcher. Over a period of about a month and a half,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ix teachers and the trainee, and FGIs were conducted with the five teachers except the trainee.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perceptions of SAT reading texts and various aspects of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m, and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sider how to strengthen students' ability to read informational texts by utilizing SAT reading texts, which have a status comparable to reading textbooks.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ach academic field by utilizing the features of 'SAT Special Lecture', which contains the latest, diverse, and timely information texts every year. Secon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for reading high-demand informational texts need to be developed, and we found that there is room for teachers to adopt a disciplinary literacy perspective. While teachers still value the "universal reading strategies" of the content-area literacy perspective, the emergence of complex informational texts has led to a consensus on the need for "discipline-specific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rom the disciplinary literacy perspective. They also agree that 'step-by-step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is. Third, we confirmed the demand from the fiel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literacy should be changed from the entrance examination. In particular, they believe that if the burden of assessment is reduced by lowering the difficulty of the S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luding those based on academic literacy, will be possib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especially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school classes (general, special-purpose, and autonomous private schools) and regional differences. It is also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students' perceptions of SAT-related materials. Moreover, since the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concept of academic literacy is still underway, the question of whether academic literac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limitations of universal reading strategies for reading difficult informational texts remains. Nevertheless, as part of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concept of academic literacy in reading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field teachers on the concept of 'academic literacy' and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utiliz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the 'reading' section of the EBS SAT textbooks, which constitutes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the reading class in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before the SAT,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various uses of the SAT textbooks, especially the fea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academic literacy.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이론적 배경 6
2.1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학문 문식성 요소 6
2.2 내용 영역 문식성과 학문 문식성에 따른 교수 학습 15
3. 선행 연구 검토 23
Ⅱ.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27
1. 연구 대상 27
2. 자료 수집 28
2.1 도구 28
2.2 연구 절차 37
3. 자료 분석 40
4. 연구자 요인 46
Ⅲ. 연구 결과 및 분석 47
1. 국어 교사들이 생각하는 독서 교육의 목표 47
2. 실제 독서 수업에서의 정보 텍스트 교수 학습 방안 52
3. 수능 연계교재의 다양한 활용 양상 60
4. 교사들이 생각하는 독서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 68
Ⅳ. 결론 및 시사점 74
1. 현실 중심의 독서 교육 목표 지향 75
2. 정보 텍스트 교수 학습 방안으로서의 학문 문식성 관점 77
3. '현상'으로서의 수능 연계교재 활용 실태 및 다양한 활용 가능성 82
4. 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독서 교육의 목표 실현을 위한 조건 84
참고 문헌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