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생태스포츠 참여자에서 환경활동가로의 변화 과정 연구

Research on processes from eco-sports participants to eco-activists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 전문화 모형을 활용하여 생태스포츠 참여자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생태스포츠를 시작하고 친환경 행동까지 하게 되는지 살펴보고 공통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스포츠 참여자로서의 경험이 충분하고 친환경 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모든 심층 면담을 기록하고 모든 기록 내용을 전사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스포츠 참여자의 여가 전문화 단계를 도출하고, 각 단계를 여가 전문화 순환 모형에 적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스포츠 참여자의 여가 전문화 과정은 관심, 진입, 유지, 활성, 전문화 유지의 5단계로 구성되었고, 각 단계 중 하나에서 친환경 행동에 대한 관심 또는 진입 단계로 넘어갔다. 이후 진입, 유지, 자율적 전문화, 확산적 전문화의 과정을 거쳤다. 생태스포츠에서 친환경 행동 전문화 과정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전이라는 기회가 필요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정된 여가 전문화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공통적으로 친환경 행동에서 반대 단체의 비난, 설득에 대한 두려움 등의 걸림돌을 경험했다. 이 걸림돌을 극복한 참여자는 다음 단계로 갔고 극복하지 못한 참여자는 이전 단계에 머물거나 현 단계를 유지했다. 셋째, 타자에 대한 연민, 봉사 정신, 자연 공간에 대한 애정이 친환경 행동의 중요한 촉진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이러한 성향이 생태스포츠를 참여와 결합되어 친환경 행동 참여로 연결되었다. 따라서 생태스포츠를 통해 자연 및 타자와의 연결감을 만들어주는 것이 친환경 행동의 발현을 촉진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생태스포츠를 하는 것 자체에 즐거움을 느껴 참여를 이어가고 있으며, 생태스포츠를 통해 생태적 감수성을 확립하고 함께하고 있는 사람과 다음 세대를 위해 친환경 행동에도 참여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생태스포츠와 친환경 행동 참여를 이끌어내는 요인 및 프로그램 개발 대해 더 연구할 필요성을 느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스포츠 참여자에서 친환경 행동 참여까지의 과정을 여가 전문화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공통 경험과 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스포츠 및 친환경 행동 참여 과정을 통해 스포츠를 통한 삶의 변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 생태스포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common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ticipants in eco-sports begin eco-sports and eventually engag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using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mode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y participant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as eco-sports participants and are engaged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All in-depth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data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the stage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for eco-sports participants were derived and applied to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cycle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of eco-sports participants consists of five stages: interest, entry, maintenance, activation, and specialization maintenance. At each stage, participants transitioned to the interest stage or entry stag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Subsequently,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es of entry, maintenance, autonomous specialization, and expansive specialization. To advance from eco-sports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specialization, a transfer experience was necessary. Based on this, a modified recreation specialization cycle model was proposed. Second, common obstacles such as criticism from opposing groups and fear of persuasion were experienced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Participants who overcame these obstacles progressed to the next stage, while those who did not remained in the previous stage. Third, empathy in the vulnerable, the spirit of service, and affection for the natural space were significant facilitator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se traits, combined with participation in eco-sports, led to engagement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refore, fostering a sense of connection with nature through eco-sports could be a method to promote pro-environmental behaviors. Lastly, study participants commonly felt enjoyment in participating in eco-sports, which sustained their involvement. Through eco-sports, they establishe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gaged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the sake of their peers and future generations. The researchers felt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on the factors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lead to participation in eco-sport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opportunity to analyze the process from eco-sports participation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participation using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model and to examine the common experiences and processes in depth.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life changes through sport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co-sports programs.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논의 1
2)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스포츠와 환경에 관한 논의 3
3) 학교체육에서의 생태전환교육 7
4) 진지한 여가로서의 생태스포츠와 친환경 행동 7
5) 연구 목적 8
2. 연구문제 8
3. 용어의 개념적 정의 10
1) 생태스포츠(eco-sports) 10
2) 지속가능한 여가스포츠(sustainable recreational sports) 11
3) 생태여가스포츠 11
4) 생태형 스포츠(ecological sports) 12
4. 연구의 제한점 13
II. 이론적 배경 14
1. 생태스포츠의 이해 14
1) 산악스키 14
2) 트레일러닝 14
3) 달리기 15
4) 플로깅 15
2. 여가의 이해 15
1) 여가 전문화와 진지한 여가 16
2) 진지한 여가 17
3. 선행연구 고찰 18
1) 스포츠 참여와 친환경 행동에 관한 선행 연구 18
2) 진지한 여가 및 여가 전문화에 관한 선행 연구 20
III. 연구 방법 22
1. 연구자 22
2. 연구대상 23
1) 연구 참여자의 선정 23
2)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배경 24
3. 자료 수집 방법 27
1) 인적정보 질문지 27
2) 심층면담 27
3) 문헌연구 28
4. 자료 분석 28
5. 자료의 진실성 30
6. 연구의 윤리 31
IV. 연구 결과 32
1. 생태스포츠 전문화 과정 33
1) 관심 단계 33
2) 진입 단계 35
3) 유지 단계 37
4) 전환 경험을 통한 활성 단계 39
5) 전문화 유지 단계 42
6) 쇠퇴 43
2. 친환경 행동의 전문화 과정 43
1) 전이 경험을 통한 관심 단계 44
2) 진입 단계 46
3) 유지 단계 48
4) 자율적 전문화 단계 50
5) 확산적 전문화 단계 53
6) 친환경 행동의 걸림돌 55
3.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 경험 60
1) 봉사 정신, 타자에 대한 연민 60
2) 삶의 변화와 지속할 수 있는 동기 62
3) 생태스포츠를 통한 생태적 감수성 확립 및 전이 경험 66
V. 논의 71
1. 전환 경험 71
2. 전이 경험 72
3. 친환경 행동의 걸림돌 74
4. 자기결정이론의 적용 76
5.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자료로서의 가능성 78
6. 참가자들의 제언 79
VI. 결론 및 제언 86
1. 결론 86
2. 제언 87
참고문헌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