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Essays on Economics of Well-being and Health

초록 (요약문)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olution of subjective well-being (SWB) and health status in South Korea against to socio-economic changes over recent decades. SWB and health status serve as crucial proxies for societal welfare. Furthermore, these measures are particularly valuable for evaluating impacts of public policies and optimizing the design of social safety net and welfare program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SWB and health status as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measures of economic prosperity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in Western countries, empirical evidence for non-Western counties remains limited.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changes and trends of personal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 status in Korea, which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s well as implemented diverse social safety net programs. The first chapter documents trends in life satisfaction in Korea over the past two decades using large-scale,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data. Unlike extensive research on Western countries, this chapter provides novel empirical evidence on long-term SWB trends in a non-Western country. The data indicate that a steady improvement in overall and domain-specific life satisfaction attributed to increased household income, decreased income inequality, expanded social insurance and welfare programs, higher education levels, reduced working hours, and better health statuses. These findings highlight Korea's unique trajectory of rapid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welfare state expansion. The second chapter explores the insurance of life satisfaction against unexpected income changes and the evolution of these responses over the past two decades. By using framework of Blundell et al. (2008), this chapter assesses individual resilience to permanent and transitory income shocks. Results show that permanent income shocks significantly affect life satisfaction, while transitory shocks have minimal impact. We also find that the sensitivity of life satisfaction to income shocks varies, being more pronounced for external factors like family income and leisure activities than for social relationships. Our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persistent income losses in the economy (e.g., long-term unemployment driven by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or work-limiting disability) to enhance social welfare.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social pensions on the well- being an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in rural Korea using difference-in- difference (DID) and triple-difference (TD) methodologies. Findings reveal that social pension expansion significantly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nd alleviates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rural elderly, while the impact on well-being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s limited. We also find that this impact has a more pronounced effect in rural areas compared to urban ones. These results emphasize the critical role of social pensions in enhancing cognitive and mental health among rural elderly populations, highlighting the greater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in rural elderly populations.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최근 수십년간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과 건강 상태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주관적 웰빙과 건강 상태는 사회 후생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대리 변수로서, 공공정책의 영향 평가 및 사회 안전망과 복지 프로그램의 설계를 최적화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서구 국가에서는 국내총생산(GDP)과 같은 전통적인 경제 번영 지표의 대안으로서 주관적 웰빙과 건강 상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비서구 국가들에 대한 실증적 증거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고 다양한 사회 안전망 프로그램을 시행한 한국에서 개인의 주관적 웰빙과 건강 상태의 변화와 추이를 탐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웰빙과 건강에 대한 아래의 세 가지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지난 20 년간 한국의 삶의 만족도 추이를 분석하였다. 서구 국가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와는 달리, 이 장에서는 비서구 국가의 장기적인 주관적 웰빙 추이에 대한 새로운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전반적인 만족도 및 영역별 삶의 만족도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 증가 추세는 가계 소득 증가, 소득 불평등 감소, 사회 보험 및 복지 프로그램 확장, 교육 수준 향상, 근로 시간 감소 및 건강 상태 개선의 추세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복지 확장의 결합이 한국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시킨 독특한 특징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예상치 못한 소득 변화에 대한 삶의 만족도 보장정도와 지난 20 년간 이러한 반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Blundell (2008)의 모형을 활용하여 영구적 및 일시적 소득 충격에 대한 개인의 삶의 만족도 회복력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영구적 소득 충격은 삶의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일시적 충격은 미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 충격에 대한 민감성이 가계 소득 및 여가 활동과 같은 외부 요인 관련 삶의 만족도에서 사회적 관계 관련 삶의 만족도보다 더 두드러짐을 발견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 변화로 인한 장기 실업 또는 근로 제한 장애와 같은 경제의 지속적인 소득 손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중차분법과 삼중차분법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회연금이 농촌 지역 노인의 웰빙 및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연금 확대가 농촌 노인의 인지 기능을 개선하고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지만, 웰빙 및 주관적 건강 상태에는 제한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연금 확대에 대한 영향은 도시보다 농촌 지역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했다. 본 연구 결과는 농촌 노인 인구의 인지 기능 및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사회연금의 중요한 역할을 시사하며, 농촌 노인 인구에서 사회연금과 같은 프로그램의 더 큰 효과를 강조한다.

more

목차

Ⅰ. Introduction 1
Ⅱ. Trends i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in 2000–2019 5
1. Introduction 5
2. Data 7
3. Trends in life satisfaction 10
4. Mechanisms 15
5. Conclusion 19
Ⅲ. Is Subjective Well-being Insured against Income Shocks?: Evidence from 20-Year Panel Data in South Korea 21
1. Introduction 21
2. Data 25
3. Methodology 30
4. Estimation Results 32
5. Conclusion 37
Ⅳ. Influence of Social Pension on Well-being and Health of the Rural Elderly: The Case of South Korea 39
1. Introduction 39
2. Background 42
2.1. Literature Review 42
2.2. Institutional Background 44
2.3. Rural–Urban Difference 46
3. Empirical Strategy 47
4. Data 49
5. Estimation Results 55
5.1 DID Results 55
5.2 Potential Mechanism 57
5.3 Robustness Check and Heterogeneous Effects 58
5.4 Comparing the Rural and Urban Effects 62
6. Conclusion 63
Reference 65
Appendix 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