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개신교 기혼 청년신자들의 결혼-가족관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결혼예비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Sociological Study on the Marriage-Family Perspectives of Married Young Protestants in Korea: Based on the Cases of a Wedding Preparatory Schools

초록 (요약문)

한국 사회의 급속한 현대화는 가족의 형태와 인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성별 간 수직적 위계질서를 중시한 전근대적 가족에서 친밀성과 관계를 중시하는 현대적 가족으로 변모하기까지 약 100년의 기간 동안, 전통적 가족관을 가진 기성세대와 현대적 가족관을 가진 청년세대 사이에서 가부장주의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한 갈등이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인식 차이는 일부 한국 개신교회에서 더욱 명징하게 드러난다. 이는 전통적 가족관과 가부장주의를 옹호하는 기성세대 개신교인과 그들의 의식이 집약된 ‘결혼예비학교’ 교육에 대한 일부 청년 신자(19~39세)의 반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례는 이미 개신교계 언론을 통해 여러차례 보도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기인하여 한국 교회의 연애-결혼-출산과 가족에 대한 인식이 ‘결혼예비학교’라는 교육과정에 집약되어 있음을 밝히고, 이것이 어떤 차원에서 가족중심주의-신가부장주의적인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역사 속에서 가족관의 변모 과정 속에서 가족중심주의와 신가부장주의의 의미를 확인하고 이것이 개신교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 현재까지 이어졌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구성된 한국 교회의 대표적인 교육과정인 결혼예비학교 대해 기혼 청년 신자(19-39세)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반감이나 대응 전략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신교 교육과정 중 하나인 ‘결혼예비학교’는 가족·결혼관에 관해 (교리의 의미적 차원에서) 어떤 가치와 의미를 제공하는가? 둘째, ‘결혼예비학교’가 제시하는 가부장성이나 정상가족담론의 특성이 청년 신자에게 어떻게 반영·재해석 되고 있는가? 셋째, 개신교 기혼 청년 신자들은 ‘결혼예비학교’에 관한 체계를 (개인적으로) 어떻게 수용하며, 그들의 종교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어떤 방식으로 이에 대응하는가? 이를 위해 결혼예비학교 전문 강사들이 집필한 교재 25권을 수집 후 문헌 분석을 진행하여, ‘관계 형성과 증진’, ‘의사소통과 갈등 해결’, ‘세속적 삶’, ‘자아상과 치유’, ‘가족중심주의’, ‘젠더-성’이라는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기혼 청년 신자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결혼예비학교(또는 유사 교육과정)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혼예비학교’에 대한 기혼 청년 신자들의 인식은 크게 ‘육아의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육아의 경험’이 있는 신자들은 교회의 연애-결혼-가족관과 결혼예비학교에 ‘신가부장주의’와 ‘가족중심주의’적 성격에 대한 거부감이 발생한 것이 인식 전환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따른 인식 유형별 세부 대응방식은 ‘긍정’, ‘순응’, ‘타협’, ‘저항’, ‘무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화와 함께 찾아온 개신교회 위기 중 하나인 청년 신자 수 감소의 원인이 개신교 교회의 연애-결혼-가족을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 그리고 이에 대한 담론이 집약되어있는 결혼예비학교에 내재된 신가부장주의와 가족중심주의에 대해 문헌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비판적으로 접근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것이 성별에 관계없이 ‘육아에 관한 경험’을 통해 드러난 현상임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다루었던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이 있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rapid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form and perception of the family. For about 100 years from a pre-modern family that emphasized vertical hierarchies between genders to a modern family that emphasized intimacy and relationships, conflicts arose due to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atriarchalism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with traditional family views and the younger generation with modern family views. In particular,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is more evident in some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ntipathy of the older generation Protestants who advocate traditional family views and patriarchy and some young believers (19-39 years old) to the education of 'marriage preparatory schools', where their consciousness is concentrated. Several examples of this have already been reported several times through the Protestant media. Due to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he Korean church's perception of love-marriage-birth and family is concentrated in the curriculum called "marriage preparatory school" and to explain how it is ‘Family-centrism’ and ‘Neo-Patriarchy’.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family view in Korean history and see how it was reflected in Protestantism and continues to this day. We will also check how married young believers (19-39 years old) perceive marriage preparatory schools, the representative curriculum of the Korean church, and how their antipathy or response strategies appear. Research question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values and meanings does the 'marriage preparatory school', one of the Protestant curriculums, provide for families and marriage views (in the semantic dimension of doctrine)? Second, how is the patriarchy or normal family discourse suggested by the 'marriage preparatory school' reflected and reinterpreted to young believers (groups)? Third, how do Protestant married young people accept the system of 'marriage preparatory school' (individually), and how does it affect their religious life? Also, how does it respond to this? To this end, 25 textbooks written by professional instructors at marriage preparatory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literature. It was divided into six areas: "relationship formation and promotion,"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ecular life," "self-image and healing," "family-centrism," and "gender-sex."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study participants who had taken or encountered marriage preparatory schools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married young believers. Married young believers' perceptions of "marriage preparatory school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ir "childcare experience," and believers with "childcare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change in perception due to the church's resistance to the "Neo- Patriarchy" and "Family-centrism" character at the love-marriage-family hall and wedding preparatory schools. In addition, the detailed response methods for each type of perception accordingly could be classified into "positive," "compliance," "compromise," "resistance," and "ignor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ritically approached through literatur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ove-marriage-family of Protestant churches as the cause of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young believers, one of the crises of Protestant churches that came with modernization, through regard to love- marriage-family as being on a continuous line, and on the neoclassical and familialism inherent in marriage preparatory schools, where discourse is concentrated. It is also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at dealt with feminist perspectives in that it analyzed that this was a phenomenon revealed through "experience in parenting" regardless of gender.

more

목차

I.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목적-연구질문 6
II. 이론적 배경 7
1. 가족중심주의 7
1) 결혼과 가족 7
2) 가족주의와 구분되는 의미에서의 가족중심주의 9
2. 신가부장주의 11
1) 가족의 형태와 성별 역할 변화 과정 11
2) 신가부장주의의 형성 배경과 정의 16
3. 정상가족 담론 18
1) 인구통제의 목적과 수단으로서의 가족 18
2) 여성의 주체화 19
3) 정상가족 담론 21
4. 한국 개신교회에서의 성담론과 가족담론 26
1) 유교의 가부장제 문화와 개신교 27
2) 한국 개신교회 성 담론의 핵심: 순결한-순종적인 여성 31
3) 결혼예비학교: 한국 개신교 성 담론과 가족 담론의 집약체 34
III. 연구방법 및 대상 37
1. 연구 및 분석 방법 37
2. 연구 대상 39
IV. 경험 자료 분석 42
1. 결혼예비학교 교재 문헌 분석 42
1) 관계 형성과 증진 47
2) 의사소통과 갈등 해결 57
3) 세속적 삶 68
4) 자아상과 치유 73
5) 가족중심주의 76
6) 젠더-성 80
7) 소결: 결혼예비학교의 가족중심주의신가부장주의적 함의 91
2. 결혼예비학교 수강생 심층인터뷰 94
1) 연구 과정 및 연구 참여자 특성 94
2) 결혼예비학교에 대한 인식의 차이(육아의 경험/영역별) 97
3) 결혼예비학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 111
4) 결혼예비학교에 대한 인식 유형별 대응 방식 122
5) 소결: 육아 경험과 결혼예비학교-결혼가족관에 관한 인식 130
V. 결론 131
1. 연구 요약 131
2. 연구의 의의와 한계 136
참고문헌 14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