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외적 수치심 및 내적 수치심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 은폐와 자기 낙인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xternal Shame and Internal Shame on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A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alment and Self-Stigma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적 수치심 및 내적 수치심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각 수치심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자기 은폐 및 자기 낙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여 총 350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SPSS 21.0과 Mplus 8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첫째로 외적 수치심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를 자기 은폐와 자기 낙인이 이중 매개하여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대한 외적 수치심의 직접효과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비일관적 매개효과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둘째로, 내적 수치심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를 자기 낙인이 매개하여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 은폐와 자기 낙인이 이중 매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상담 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xternal shame and internal shame on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and self-stig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data from 350 stu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Mplus8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model had good fit the dat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ncealment and self-stigma mediated the association of external shame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in serial order.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 of external shame on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was found to be positive, indicating that an inconsistent mediation may have occurred. Second, self-concealment and self-stigma mediated the association of internal shame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in serial order, and self-stigma mediated the association of internal shame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future study were presented.

mor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7
1. 외적 수치심 및 내적 수치심 7
1.1 수치심의 정의 7
1.2 외적 수치심 및 내적 수치심 8
2.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9
2.1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접근요인 및 회피요인 9
2.2 외적 수치심 및 내적 수치심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11
3. 자기 은폐 12
3.1 자기 은폐 12
3.2 수치심, 자기 은폐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13
4. 자기 낙인 15
4.1 자기 낙인 15
4.2 수치심, 자기 은폐,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16
Ⅲ. 연구 문제 및 가설 19
Ⅳ. 연구 방법 21
1. 연구 대상 21
2. 연구 절차 23
3. 측정 도구 24
3.1 외적 및 내적 수치심 척도 24
3.2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 24
3.3 자기 은폐 척도 25
3.4 자기 낙인 척도 26
3.5 기타 인구통계학적 특성 26
4. 자료 분석 26
Ⅴ. 연구 결과 28
1. 기술통계 및 변인 간의 관계 28
2. 경로모형 분석 29
2.1 연구 모형 적합도 검정 29
2.2 매개효과 검정 30
Ⅵ. 논의 및 제언 36
1. 결과 요약 및 논의 36
2. 연구 제한점 및 제언 42
참고문헌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