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사회자본과 세계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Capital and Global Citizenship of Korean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오세일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152
- UCI I804:11029-00000007915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오늘날 세계화로 인해 한국 사회는 다양한 국제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시민의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세계시민의식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령 코호트가 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네이버 카페 게시글과 댓글을 대상으로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세계시민의식 관련 주제를 탐색하고,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회자본의 네 가지 차원(신뢰, 규범, 참여, 네트워크)이 세계시민의식의 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이버 카페에서 세계시민의식과 관련된 주요 주제는 '다문화사회 시민교육', '지구환경변화와 시민', '학교 교육과 방법론', '국제협력과 관심', '역사 인식과 교육', '청소년 국제활동 참여', '국제개발협력의 이해'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한국의 세계시민의식이 다양한 의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청소년에 대한 교육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령 코호트에 따라 세계시민의식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0대 이하 코호트는 더 높은 연령의 코호트와 비교하여 세계시민인식, 글로벌어젠다논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이주민에 대한 태도와 경제적 차원의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에서 40대가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20대와 30대는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차원의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에서 70대 이상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본의 각 차원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인신뢰는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부신뢰는 모든 차원의 한국의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호혜적 규범은 환경적 차원의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치참여는 세계시민인식과 글로벌어젠다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노동적 차원의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량형 사회참여는 세계시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결속형 사회참여는 이주민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네트워크 빈도가 높을수록 글로벌어젠다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정부신뢰가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특정 연령 코호트별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40대의 경우 정부신뢰가 증가할수록 세계시민인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50대의 경우 정부신뢰가 증가할수록 글로벌어젠다논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세계시민의식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연령 코호트 차이를 고려한 세계시민의식 함양 및 사회자본 관련 정책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변수를 고려한 심층적인 분석과 질적 연구를 통해 사회자본과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가 글로벌어젠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기관이 한국인의 세계시민의식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 (요약문)
In the contemporary globalized world, Korean society actively engages with various international issue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global citizenship in South Korea in depth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age cohorts on this relationship. Utiliz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on Naver Cafe posts and comment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from 2015 to 2024, the study explores theme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Additionally, data from the 201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is employ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impact of four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trust, norms, participation, networks) on different aspects of global citizenship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moderation effects. Th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opics associated with global citizenship on Naver Cafe included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c educati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and citizens,' 'school education and methodology,'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est,' 'historical awareness and education,' 'youth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se themes indicate a broad scope of interest in global citizenship within online communities, confirming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youth education in South Korea. Second,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in global citizenship across age cohorts. Cohorts below their 40s exhibited higher awareness of being global citizens and discussions on global agendas compared to older cohorts. Conversely, attitudes towards migrants and economic globalization were most positive in the 40s cohort but most negative in the 20s and 30s cohorts. The 70s and above cohort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globalization. Third, the impact of each dimension of social capital on global citizenship was analyzed. Interpersonal tru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lobal citizenship, while trust in the government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all dimensions of Korea's globalization. Reciprocal norms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al globaliz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d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and discussions on global agendas, but negatively impacted attitudes towards economic globalization. Bridging social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d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while bonding social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The frequency of networking positively influenced discussions on global agendas. Fourth, the moderation effects of age cohorts on the impact of trust in government on global citizenship were observed. For individuals in their 40s, increased trust in government correlated with a lower likelihood of identifying as global citizens, while for those in their 50s, increased government trust correlated with decreased discussions on global agendas. This study provides crucial insights into the differences in global citizenship across age groups in South Korea and the role of social capital, offering valuable data for policy development aimed at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and enhancing social capital.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a more in-depth and qualitative analysis considering additional variables to achie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Such efforts will help Korean society effectively address global agendas and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more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세계시민의식 4
2. 사회자본 9
1) 신뢰 13
2) 호혜적 규범 17
3) 참여 19
4) 네트워크 23
3. 코호트 25
Ⅲ. 연구 방법 28
1. 텍스트 마이닝 28
2. 다중회귀분석 30
1) 종속변수 32
2) 독립변수 34
3) 사회인구학적 변수 37
Ⅳ. 경험 분석 결과 39
1. 세계시민의식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39
2. 주요 변수에 대한 코호트 분석 44
1) 세계시민인식 44
2) 글로벌어젠다논의 46
3) 이주민에 대한 태도 47
4)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경제적 차원) 48
5)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노동적 차원) 50
6)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환경적 차원) 51
7) 정부신뢰 52
3. 상관관계분석 54
4. 다중회귀분석 56
1) 세계시민인식 56
2) 글로벌어젠다논의 59
3) 이주민에 대한 태도 62
4)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경제적 차원) 65
5)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노동적 차원) 67
6)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태도(환경적 차원) 69
Ⅴ. 결론 70
1. 연구의 의의 70
2. 연구의 한계 72
Ⅵ. 참고문헌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