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자살 시도 및 자살 사고에 대한 예측타당도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공동 요인 구조를 중심으로

Predictive Validity of Suicide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Focusing on the Joint Struct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주요우울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공동 요인 구조를 탐색하고, 위 공동 요인 구조에서 밝혀진 두 병리의 공통 요인 및 고유 요인의 자살 사고와 시도에 대한 상대적 예측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미국 역학 데이터인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3(NESARC-3)를 사용하였다. NESARC-3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자살 시도 및 사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는 NIAAA 의 Alcohol Use Disorder and Associated Disabilities Interview Schedule(AUDADIS-5)로 수집되었다. PTSD 와 MDD 의 공동 요인 구조를 탐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MDD 와 PTSD 의 경험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연구참여자를 선별하여 이들의 데이터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7.0 을 통해 탐색적 쌍요인 분석과 탐색적 구조 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여 주요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TSD와 MDD의 공동 요인 구조 탐색 결과, ‘일반적 고통’ 요인으로 특징지어지는 공통 요인과, ‘우울-특정적’ 요인, ‘침습-특정적’ 요인, ‘경조증 삽화-특정적’ 요인, ‘과각성-특정적 요인’으로 구성된 4 개의 특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각 PTSD와 MDD의 공통 요인 및 고유 요인이 자살 사고와 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통 요인과 우울-특정적 요인, 그리고 경조증 삽화-특정적 요인만이 자살 사고와 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공통 요인은 자살 사고 및 시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우울-특정적 요인은 자살 사고 및 시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반면, 경조증 삽화-특정적 요인은 자살 사고 및 시도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PTSD와 MDD의 공동 구조를 탐구하여 이들의 공존 이환과 혼합구조 증상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아울러, PTSD-MDD 의 공통 요인과 고유 요인의 자살 예측도를 살펴, 구체적으로 PTSD와 MDD의 어떠한 특성이 자살을 야기하는지에 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PTSD, MDD 환자들의 감별 진단과 치료, 자살 환자들의 이해와 치료에 관하여 지식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plores the common factor structur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examines the relative predictive validity of the common and unique factors of these two pathologies in relation to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3(NESARC-3). NESARC-3 includes data on PTSD, MDD, and suicidal attempts and ideation, collected using the Alcohol Use Disorder and Associated Disabilities Interview Schedule (AUDADIS-5) by the NIAAA. To explore the common factor structure of PTSD and MDD, the study selected participants who met the criteria for both MDD and PTSD, using only their data for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exploratory bi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using Mplus 7.0 to test the main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ion of the common factor structure of PTSD and MDD revealed a common factor characterized by 'general distress' and four specific factors: 'depression-specific factor’, 'intrusion-specific factor’, ‘hypomanic episode-specific factor', and 'hyperarousal-specific factor'. Second, examining the impact of the common and unique factors of PTSD and MDD on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t was found that only the common factor, depression-specific factor, and hypomanic episode-specific factor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Specifically, the common factor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Next, the depression-specific factor also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n contrast, the hypomanic episode-specific factor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a transdiagnostic perspective in suicide research. Furthermor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suicide phenomena in PTSD and MDD patients, it is imperative to explore the detailed factor structure of each disorder and examine their predictive validity for suicide. Lastly,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7
1. 자살, 자살시도 및 자살사고 7
2. PTSD와 MDD의 증상, 진단기준 및 요인 구조 9
1) PTSD의 요인 구조 9
2) MDD의 요인 구조 14
3) PTSD와 MDD 의 공통 요인, 고유 요인의 구조 및 자살에 대한 예측타당도 17
III.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23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25
1. 연구 참여자 25
2. 측정 도구 26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7
2) 주요우울장애 29
3) 자살 변인 30
3. 분석 방법 31
Ⅴ. 연구 결과 32
1. 인구통계학적 변인 분석 32
2. 잠재 자살 사고 변인의 타당도 검증 36
3. PTSD-MDD 공통 요인 및 고유요인의 탐색 37
4. 탐색적 구조 방정식 결과 43
1) 자살 사고 43
2) 자살 시도 47
Ⅵ. 논의 및 결론 50
1. PTSD-MDD의 공동 요인 구조에 대한 해석 및 함의 51
1) PTSD-MDD의 공통 요인에 대한 해석 51
2) PTSD-MDD의 고유 요인에 대한 해석 55
3) PTSD-MDD 공동 요인 구조의 임상적 함의점 60
2. PTSD-MDD 공동 요인 구조의 자살 변인 예측 결과 62
1) 공통 요인과 자살 변인 예측 결과에 대한 해석 및 함의 62
2) 특정적 요인 1(우울-특정적 요인)의 자살 변인 예측 결과에 대한 해석 및 함의 64
3) 특정적 요인 3(경조증 삽화-특정적 요인)의 자살 변인 예측 결과에 대한 해석 및 함의 65
3. 본 연구의 차별점과 임상적 시사점 68
4.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1
참고문헌 7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