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현행 고등 『한국사』의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s interrelating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

초록 (요약문)

현재 발생하고 있는 국내외 다양한 갈등 및 변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면한 문제들의 역사적 연원과 세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종합적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행 2018 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의 목표이기도 하다. 세계사적 맥락에서 한국사를 이해하고자 한 시도는 한국사와 세계사를 결합한 ‘역사’ 과목이 등장하였던 2007 개정 교육과정기부터 본격화되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서 학습 부담 경감을 이유로 세계사적 맥락은 삭제되었다. 이후 교육과정 개정이 급박하게 이뤄지면서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사를 이해한다는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는 이전 교육과정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 교육 속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Ⅲ단원에 해당하는 ‘1910~20년대 일제 식민지 시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제 식민지 시기는 현대 한국 사회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시기로, 과거와 현재의 비판적 이해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나 태평양 전쟁과 같은 1930년대 이후 상황은 한국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관련 선행연구가 다양하나,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상황은 ‘한국사’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기를 1910~20년대로 설정하여 일제 식민지 시기를 국제 정세와 함께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계에서는 일국사적인 관점이나 유럽중심주의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존의 ‘세계사’를 벗어난 글로벌 히스토리,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 등과 같은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역사교육계에서도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기존의 분절적인 교과서 서술을 비판하며 새로운 교육 방안을 고민한 연구들이 존재하였다. 학계의 동향을 파악하여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Ⅲ-1-1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에 관한 서술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현행 교과서 서술에서 보완이 필요한 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참전 배경 및 그에 따른 결과에 관한 서술이 부족하다. 둘째, 레닌이 제창한 민족자결의 원칙과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보완 설명이 필요하다. 셋째, 1920년대 새로운 국제질서가 수립되는 과정 서술이 미흡하다. 현행 교과서 서술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한국사와 세계사의 분절적 서술이었다. 따라서 대안 서술에서는 당시 국제질서가 한반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서술을 통한 종합적인 역사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안 서술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일 동맹과 칭다오 전투에 관한 심화 자료를 제공하여 일본제국주의의 수탈 범위가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전체로 확대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레닌이 제창한 민족자결의 원칙과 사회주의 사상의 의미를 보완하여 윌슨의 평화 원칙 14개조와 파리 강화 회의만을 강조하였던 기존 서술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워싱턴회의와 극동 인민 대표 회의에 관한 서술을 추가함으로써 국제질서의 변화상을 파악해 1920년대 등장하는 독립운동의 움직임과 연결하여 이해하도록 하였다. 기존 교과서의 일제 식민지 시기 서술은 ‘수탈과 저항’의 역사라는 이분법적 담론이 지속되어 학계의 비판을 받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 정세를 고려하여 식민지기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나의 개선 사례로 제시하였다. 종합적인 근현대사 학습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새로운 교육 방안 연구는 역사학계뿐 아니라 교사에게도 필요하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상호 관련성을 학습자 수준에 맞춰 조율하고, 그에 따라 수업 내용을 재구성할 때 학습자는 당대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 (요약문)

To understand the various conflicts and changes occurring at home and abroa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se problems and the relevance of the world. This goal was also the goal of the 2018 revised Korean History curriculum. Attempts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have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hen the “History” subject that combined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ppeared, but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was dele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oti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Since then,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urgently, the nature and goals of the curriculum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in the flow of world history have not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previous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Korean history education. Among them, the 'colony of Japanese Imperialism period in the 1910s and 20s’, which corresponds to Unit III of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was targeted. The colon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can help cultivate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past and the present. Since the 1930s, such as World War II and the Pacific War, the postwar situation has been directly related to Korean history.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lated prior studies, but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World War I lacked research on how to teach Korean history. Therefore, by setting the period of this study to the 1910s and 20s, we tried to find a wa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lonial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cademia recognized problems such as national historical perspectives and European centeredness and actively conducted research such as Global History and Transnational History, which deviated from the existing “world history.” Studies in the history education field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linking Korean history with world history, criticized the existing fragmented textbook descriptions and considered new educational plans.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Ⅲ-1-1-1 was analyzed by observing the trends of the academic world. Due to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urrent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to Japan’s participation in the war and the consequen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and explain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socialist ideology proposed by Lenin. Third, the descrip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1920s was insufficient. The major issue with the current textbook description was the segmental description of Korean and global history. Therefore, in the alternative description, a comprehensive history education plan was sought through organic descriptions so that the study could understand how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e time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The directions of the alternative description are as follows. First, by providing in-depth data on the British-Japan alliance and the Battle of Qingdao,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scope of Japanese imperialism had expanded beyond the Korean Peninsula to encompass East Asia. Second, by supplementing the principles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meaning of socialist ideas advocated by Lenin, the principles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meaning of the 14 principles of peace and the Paris Peace Conference were emphasized so that comprehensive learning could take place beyond the existing description that emphasized only the 14th article of Wilson’s Peace Principles and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ird, by adding a description of the Washington Conference and the Far East Conferenc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were identified and linked to and understood with the moveme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emerged in the 1920s. The description of the colon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in existing textbooks has been criticized by academics as the dichotomous discourse of the history of “harassment and resistance” continu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olonial period in light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s an example of improvement. Active discussions on comprehensiv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earning and research on new educational plans are necessary not only for the history community but also for teachers. Whe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and the class content is reorganized accordingly, the learner will be able to cultivate historical thinking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time.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Ⅱ. 한국사-세계사 연계 교육 관련 이론적 배경 5
1. ‘세계사적 맥락에서의 한국사 이해’ 학계 연구 동향 5
2. 1910~20년대 일제 식민지기 교과서 서술 관련 선행 연구 검토 10
3. 한국사-세계사 연계 관련 역사과 교육과정 변화상 검토 13
Ⅲ.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교과서 서술 분석 20
1.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 구성 및 성취기준 변화 20
2.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단원 분석 28
1)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단원 및 소주제 구성 비교 28
2)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본문 서술 분석 34
① 제1차 세계대전의 배경 및 전개 과정 34
② 러시아 혁명 39
③ 제1차 세계대전의 결과 46
3. ‘제1차 세계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단원 삽화 및 도움자료 분석 54
Ⅳ.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한 교과서 서술 제언 60
1. 한국사-세계사 연계 관점에서의 서술 개선 방향 및 단원 재구성 60
2.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세계 질서 관련 대안 서술 63
1) 제국주의 열강들의 식민 지배 63
2) 제1차 세계대전 전후 국내외 상황 65
3) 워싱턴 체제와 새로운 국제질서의 수립 74
Ⅴ. 결론 77
참고문헌 8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