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호란기 주화론의 사상적 연원 재고 : 양명학 관련성을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f the Ideological Origin of Juwharon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 Focused on the Relevance to Yangmingism

초록 (요약문)

이 글은 호란기 주화론의 사상적 연원을 양명학으로 규정한 기존 연구를 재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주화론을 구성하는 특정한 사상적 배경이 있다는 것은 마치 통설처럼 여겨져 왔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는 주화론을 사상적으로 설 명하기 위해 최명길-양명학-변통론-주화론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구조를 설정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충분한 논증 없이 제시되었으며, 몇 가지 문제 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글에서는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윤황과 장유의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윤황은 성혼의 학통을 이어받아 변통론 을 주장하면서도 척화론을 고수하였고, 장유는 양명학에 조예가 깊었음에도 척화론을 주장하였다. 실제로 최명길이 양명학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 다. 다만 윤황과 장유 등의 사례를 고려했을 때 양명학과 변통론이 반드시 주 화론으로 이어진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17세기 전반은 분명 주자학이 지배하는 사회였다. 당대 조선 지배층 사이에 서 진정으로 양명학자로 분류할 수 있는 인물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기존 연 구의 문제점은 바로 여기에서 기인하였다. 양명학자의 존재를 기본 전제로 삼 다 보니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 인물에 대해서는 설명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다. 즉, 호란기 주화-척화 논쟁은 사상적 관점에 국한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다시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 (요약문)

Reconsideration of the Ideological Origin of Juwharon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 Focused on the Relevance to Yangmingism - Song Kangho Major in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existing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Juwharon during the Manchu Invasions of Korea as being rooted in Yangmingism. The idea that the Juwharon has a specific ideological background has been regarded almost as conventional wisdom. Consequently, previous research established a structure linking Choi Myung-gil, Yangmingism, Byeontongron, and the Juwharon. However, such attempts were presented without sufficient argumentation and were found to include several issue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issues by analyzing the cases of Yoon Hwang and Jang Yoo. Yoon Hwang, despite inheriting the academic lineage of Seong Hon and advocating for Byeontongron, consistently maintained a Cheokhwaron stance. Similarly, Jang Yoo, who had a deep understanding of Yangmingism, also supported the Cheokhwaron. It is true that Choi Myung-gil had an interest in Yangmingism. However, considering the cases of Yoon Hwang and Jang Yoo,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Yangmingism and Byeontongron necessarily lead to the Juwharo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as undoubtedly a period dominated by Jujahak.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re were any individuals among the ruling class of Joseon at that time who could genuinely be classified as Yangmingists. The issues with existing research stem from this very assumption. By taking the existence of Yangmingists as a given, it becomes difficult to explain individuals who do not fit into this category. Therefore, the Juwha and Cheokwha debates during the Manchu Invasions should be re-examined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beyond just ideological viewpoints.

more

목차

Ⅰ. 머리말 1
Ⅱ. 주화론과 양명학 연결: 변통론 3
Ⅲ. 연결성 재고: 척화변통론 9
Ⅳ. 맺음말 16
참고문헌 1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