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기에 지각된 아동기 부모애착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In Adulthood and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larity
- 주제어 (키워드) 성인기 , 부모애착 , 자아분화 , 정서인식 명확성 , 연인과의 친밀감 , Adulthood , Parental Attachment , Emotional Clarity ,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 Self-Differenti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097
- UCI I804:11029-00000007909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 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9세부터 40세까지 연애 경험이 있는 미혼인 성인기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총 320개이며, SPSS 29.0과 PROCESS Macro 4.3을 사용하여 자 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변인은 강 력한 직접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부모애착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에서 자아 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은 둘 다 연인과의 친밀감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 은 결과를 나타내어,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부모애착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 계에서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is conducted for unmarried adulthood aged between 19 and 40 and have at least one ro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 And the collected data from 320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SPSS 29.0 and PROCESS Macro 4.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ariables of parental attachment and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showed strong direct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each of the indirect path of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larity to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was not significant and was partially mediat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larity was confirmed. Furthermor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more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부모애착 5
1) 부모애착의 개념 5
2) 내적작동모델 8
2. 자아분화 10
1) 자아분화의 개념 10
2) 자아분화와 부모애착의 관계 12
3. 정서인식 명확성 13
1) 정서인식 명확성의 개념 13
2) 부모애착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관계 15
3)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관계 16
4. 연인과의 친밀감 17
1) 연인과의 친밀감의 개념 17
2) 부모애착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20
3) 자아분화와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24
4) 정서인식 명확성과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26
5. 부모애착, 자아분화, 정서인식 명확성,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27
1) 부모애착, 자아분화,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27
2) 부모애착, 정서인식 명확성,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29
3) 부모애착, 자아분화, 정서인식 명확성, 연인과의 친밀감의 관계 31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4
1. 연구문제 및 가설 34
2. 연구모형 35
3. 연구방법 36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6
2) 측정도구 37
2.1) 부모애착 37
2.2) 자아분화 38
2.3) 정서인식 명확성 39
2.4) 연인과의 친밀감 40
4. 분석방법 41
Ⅳ. 연구결과 42
1. 사전분석 42
1)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2) 연구참여자의 연인관계 경험 특성 44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45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평균 차이 45
2) 연인관계 경험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평균 차이 51
3)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55
3. 매개효과 분석 57
Ⅴ. 논의 및 제언 61
1. 결과 및 논의 61
2.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 63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6
참고문헌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