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Supervisors' and Co-Superviso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ase Presentation
- 주제어 (키워드) 공개사례발표 , 집단 수퍼비전 , 공동 수퍼비전 , 주수퍼바이저 , 부수퍼바이저 , 합의적 질적연구 , Case Presentation , Group Supervision , Co-Supervision , Supervisor , Co-Supervisor ,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연규진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082
- UCI I804:11029-00000007908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방법을 사용하여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관점에서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주수퍼바이저들과 부수퍼바이저들이 지닌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을 각각 탐색하고,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과정에서 공동 수퍼비전 경험은 어떠하였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두 수퍼바이저 집단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중 10인의 주수퍼바이저와 10인의 부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각 수퍼바이저 집단의 관점을 탐색하는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수퍼바이저 집단별로 5개의 영역 및 6개의 하위 영역이 도출되었다. 주수퍼바이저 관점에서는 42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부수퍼바이저 관점에서는 36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 관점에서 영역은 동일하게 도출되었는데, 5개의 영역은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효과적인 지도 감독을 위한 요소’, ‘공개사례발표에서의 수퍼바이저 역할’, ‘공동 수퍼비전 관점에서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경험’, ‘공개사례발표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이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역별로 수퍼바이저 집단 간 상호 유사한 범주들과 상이한 범주들이 각각 도출되었는데, 우선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영역에서는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2인이 공동으로 지도 감독하는 관점에 대한 다양한 인식이 도출되었다. 또한 수퍼바이저의 역할 영역에서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기대하고 선호하는 공동 수퍼바이저의 역할이 각각 도출되었다. 아울러 공동 수퍼비전 과정에서 각 수퍼바이저 집단별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수퍼바이저들이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다양하게 도출되었다. 공개사례발표에서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는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수퍼바이저의 역할이 불분명함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위계적 관계에 따라 각 입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었고, 이에 따른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수퍼바이저 집단은 상호 보완적인 공동 수퍼비전이 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향후 공개사례발표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별로 두 수퍼바이저 집단의 관점을 논의하였고, 종합 논의와 함께 연구의 의의와 실천적 제언,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case pres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pervisor and co-supervisor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Specifically, it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held by supervisors and co-supervisors in case presentation settings, respectively, as well as to explore in-depth the experiences of co-supervision during the process of case presentation supervis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upervisors and 10 co-supervisors from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each supervisor group, and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domains and 6 sub-domains were derived for each supervisor group. The analysis yielded 42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from the supervisors' perspectives, and 36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from the co-supervisors' perspectives. The domains derived from both groups included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n Case Presentations", "Factors for Effective Supervision", "Roles of Supervisors in Case Presentations", "Experiences in Co-Supervision during Case Presentations", and "Suggestions for Case Presentation Development". The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both similar and distinct categories were identified among the supervisor groups within each domain. Firstly, various perspectives on the purpose and co-supervision involving two supervisors were derived within the domain of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f case presentation. Additionally, within the domain of supervisor roles, perceptions of their own roles and the roles that supervisors expect from and prefer for the co-supervisor were derived for each. Moreover, we found various challenges experienced during co-supervision and the coping strategies employed by supervisors. During the process of co-supervision, both supervisors and co-supervis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unclear purpose of the case presentation and the role of the supervisor.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co-supervisor, diverse experiences were reported from each perspective, alongside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ed. Despite these challenges, both groups of supervisors made efforts towards complementary collaborative supervision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ase present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perspectives of the two supervisor groups were discussed by domain, and along with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research implications, practical recommend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more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7
1. 집단 수퍼비전 7
1-1. 집단 수퍼비전의 범위 7
1-2. 집단 수퍼비전의 특성 9
2. 사례발표 12
3. 한국의 사례발표 모델 16
3-1. 공개사례발표 16
3-2. 국내 공개사례발표의 역사 18
4. 국내 공개사례발표의 특징 20
4-1. 수퍼비전의 기능적 측면 21
4-2. 수퍼비전의 내용적 측면 25
4-3. 공동 수퍼비전의 측면 28
4-4. 공동 리더십의 측면 32
Ⅲ. 연구문제 37
Ⅳ. 연구방법 39
1. 연구참여자 및 모집과정 39
1-1. 연구참여자 39
1-2. 모집과정 40
2. 자료 분석 방법 43
3. 연구팀 구성 44
3-1. 면담자 44
3-2. 연구 평정팀 및 감수자 44
4. 인터뷰 질문지 44
5. 자료 수집 절차 47
5-1. 예비 인터뷰 47
5-2. 본 인터뷰 47
5-3. 분석 자료 준비 48
5-4. 연구 평정팀의 편견 및 기대 처리 48
6. 자료 분석 50
6-1. 영역(Domain) 및 하위 영역(Sub-domain) 50
6-2. 핵심 개념(Core idea) 51
6-3. 교차분석(Cross analysis) 51
6-4. 감수 52
V. 결과 53
1.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54
1-1. 주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54
1-1-1.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취지 54
1-1-2. 2인 공동 수퍼비전에 대한 관점 58
1-2. 부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63
1-2-1.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취지 63
1-2-2. 2인 공동 수퍼비전에 대한 관점 67
2. 효과적인 지도 감독을 위한 요소 72
2-1. 주수퍼바이저가 인식한 효과적인 지도 감독을 위한 요소 73
2-2. 부수퍼바이저가 인식한 효과적인 지도 감독을 위한 요소 77
3. 공개사례발표에서의 수퍼바이저 역할 82
3-1. 주수퍼바이저가 인식한 공개사례발표에서의 수퍼바이저 역할 82
3-1-1. 주수퍼바이저 역할 82
3-1-2. 기대 및 선호하는 부수퍼바이저 역할 85
3-2. 부수퍼바이저가 인식한 공개사례발표에서의 수퍼바이저 역할 91
3-2-1. 기대 및 선호하는 주수퍼바이저 역할 91
3-2-2. 부수퍼바이저 역할 96
4. 공동 수퍼비전 관점에서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경험 100
4-1. 주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경험 101
4-1-1. 공동 수퍼비전의 어려움 101
4-1-2. 어려움에 대한 대처 106
4-2. 부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경험 113
4-2-1. 공동 수퍼비전의 어려움 113
4-2-2. 어려움에 대한 대처 119
5. 공개사례발표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123
5-1. 주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123
5-2. 부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129
Ⅵ. 논의 134
1.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135
1-1.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취지 135
1-2. 2인 공동 수퍼비전에 대한 관점 138
2. 효과적인 지도 감독을 위한 요소 142
3. 공개사례발표에서의 수퍼바이저 역할 146
3-1. 주수퍼바이저 역할 146
3-2. 부수퍼바이저 역할 149
4. 공동 수퍼비전 관점에서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경험 152
4-1. 공동 수퍼비전의 어려움 152
4-2. 어려움에 대한 대처 156
5. 공개사례발표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160
Ⅶ. 결론 및 제언 165
1. 종합 논의 165
2. 연구의 의의 171
3. 실천적 제언을 위한 고려사항 174
4.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76
참고문헌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