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사회 피부색주의(colorism)의 형성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 : 일제강점기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Colorism in Korean Society : Focusing on cosmetics advertis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 제기: <인어공주> 캐스팅 논란과 한국의 인종주의 현상 1
제2절. 피부색의 정치성 5
1. 피부색주의(colorism)와 인종주의 5
2. 이데올로기로서의 피부색주의 9
3. 비서구 국가의 피부색주의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post-colonialism) 12
4. 한국 사회와 피부색주의 15
5. 피부색주의, 화장품, 광고 19
제3절. 연구 절차 21
1. 연구 문제 21
2. 분석 대상 22
제2장. 근대화의 구성 요소가 된 신체로서의 피부색 25
제1절. 文明(문명)과 野蠻(야만)의 이항 대립 25
제2절. 啓蒙(계몽)된 주체로 호명 29
제3장. 계급을 드러내는 지표로서 피부색 35
제1절 높은 신분을 향한 욕망 36
제2절 자본주의적 상류층의 일상을 욕망하게 하는 화장품 광고 39
제4장 화장품 광고를 통해 알 수 있는 젠더 권력 46
제1절. 아름다운 여성으로 호명 47
제2절. 근대적이면서도 동시에 전통적인 모순된 주체로 호명 당하는 여성 55
제5장. 결론 61
참고 문헌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