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사용량이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리터러시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주제어 (키워드) 유튜브 ,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 확증편향 , 미디어 리터러시 , 독서 리터러시 , 영화 리터러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조재희
- 발행년도 2024
- 학위수여년월 202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9029
- UCI I804:11029-00000007902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국민 대부분이 이용하는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집단 갈등으로 이어지는 확증편향에 집중하여 이에 대한 조절방안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작용하는지 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사용량이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비판적 이해·참여·소통·책임· 권리로 구분하여 각 하위 요인들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일상 활 동 중, 온/오프라인상에서 독서 토론과 영화 토론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에 대한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검증 하기 위하여 유튜브 이용자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 기술 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Process Macro,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사용량은 확증편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 요인 중, 참여 능력과 권리 능력은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사용량과 확증편향 사이에서 정(+)적인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서 토론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영화 토론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그룹, 두 가지 경험이 모두 있는 그룹과 두 경험 모두 없는 그룹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온/오프라인 독서 토론과 영화 토론을 모두 진 행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두 가지 토론 활동 모두 경험하지 못한 그룹 사이에서 참여 능력에 차이를 보였다. 유튜브는 꾸준히 사용량이 늘고 있고,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미디어이다.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선택에 대한 피로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유사한 콘텐츠 를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조금씩 확장해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추천 알고리즘의 사용은 확증편향으로 이어지고 이는 집단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유튜브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 행태와 편향성에 대한 경계심뿐 아니라,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의의가 있다.
more목차
1.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
2. 이론적 배경 3
1) 미디어와 확증편향 3
(1)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3
(2) 확증편향 5
2) 미디어 리터러시 9
(1) 독서 및 영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12
3.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16
4. 연구 방법 18
1) 주요 변인 측정 및 자료 분석 18
(1) 유튜브 알고리즘 사용량 및 이용 행태 19
(2) 확증편향 19
(3) 미디어 리터러시 변인 20
(4) 통제 변인 25
5. 연구 결과 25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2) 유튜브 이용 경험에 대한 특성 26
3)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29
4)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사용량이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31
5) 미디어 리터러시 요인들의 조절 효과 32
(1) 비판적 이해 능력의 조절 효과 32
(2) 접근 능력의 조절 효과 33
(3) 참여 능력의 조절 효과 34
(4) 소통 능력의 조절 효과 36
(5) 책임 능력의 조절 효과 37
(6) 권리 능력의 조절 효과 38
6) 토론 참여 그룹별 미디어 리터러시 요인의 차이 39
(1) 일상 활동 참여에 따른 비판적 이해 능력 차이 39
(2) 일상 활동 참여에 따른 접근 능력 차이 40
(3) 일상 활동 참여에 따른 참여 능력 차이 41
(4) 일상 활동 참여에 따른 소통 능력 차이 41
(5) 일상 활동 참여에 따른 책임 능력 차이 42
(6) 일상 활동 참여에 따른 권리 능력 차이 43
6. 결론 및 한계점 44
1) 연구 결과 요약 44
2) 결론 및 함의 44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6
7. 참고문헌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