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팟캐스트 제작을 활용한 오디오 극 프로그램이 아동·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안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Audio Drama Programs Created through Podcast Production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ed on the Case of an Alternative School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시각 미디어에 과도하게 몰두하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저하, 자기효능감의 감소, 심리적 정서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착안하게 되었다. 현대 아동과 청소년에게는 생소한 오디오 미디어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현시켜 탐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팟캐스트 제작을 이용한 오디오 극 프로 그램이 이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시각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으로 가져오는 불균형을 해소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오디오 미디어가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교육 도구로서의 가치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 구는 팟캐스트 제작을 통해 오디오 극 프로그램이 아동·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내 대안학교 60명(7세부터 16세까지)의 아동 청소년으로 구성하였다. 팟캐스트 제작 오디오 극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집단 30명과 통제 집단 30명으로 배치하였고, 현장실험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본 교육 프로그램 시행에 대한 부모의 사전 동의를 얻은 후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3년 9월 5일부터 10월 31일까지 매주 1회, 각 회기당 70분씩 총 9 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두 가지로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와 설계는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 설문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시행하였고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전 에 미디어 이용 실태 요구조사를 측정하였고, 수업 종료 이후에는 개인별 미디어능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001, .01, .05, 수준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간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한 결과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조정한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의사소통능 력을 나타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기효능감 검증의 공분산(ANCOVA)분석 결과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조정한 사후검사 점수에서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기효능 감 총점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팟캐스트 제작을 활용한 오디오 극 활동이 아동·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실험집단 내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사전-사후 차이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활동 참여 이후 의사소통 능력 7개 하위영역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 대한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시행한 결 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하위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보였다. 넷째, 자기효능감 고-저 집단에 따른 이원산분석결과(Tow-way ANOVA)는 고정 관념적 사고 극복 요인을 제외한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자기효능감과 팟캐스트 제작 활동 참여 여부의 개별적인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팟캐스트 제작 오디오 극 수업 종료 이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미디어능력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과 나이에 따라 미디어 능력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질적 명목변수인 성별에 대 해서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 간의 미디어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양적 연속변수인 나이에 대해서는 상관분석 결과는 연령이 높을수록 미디어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일곱째, 자기효능감과 미디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자기효능감 하위요 인인 자신감과 지식 사이의 관련을 제외한 자기효능감 각 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자기효능감 총점이 미디어 능력의 하위요인 지식, 분석, 감상, 제작, 미디어능력 총점과 서로 매우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미디어 관련 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덟째, 자기효능감과 미디어 능력 간 회귀분석에서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이 미디어능력 하위 요인(지식, 분석, 감상, 제작)과 전체 미디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미디어 관련 활동과 능력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아홉째, 미디어능력 하위영역에 대해 자기효능감의 각각 하위영역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실시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하나 인 자기조절효능감이 미디어 능력 하위요인의 분석과 감상의 향상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조절 효능감은 미디어 능력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미디어능력의 분석과 감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에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룬 팟캐스트 제작을 통한 오디오 극 프로그램은 아동 과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디오 미디어의 긍정적인 측면을 통해 아동과 청 소년에게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고, 창의적이며 올바른 미디어 제작 능력을 증진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오디오 미디어가 교육적 도구로서의 잠재력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was initiated upon discovering the issues of declining communication skills, reduced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stabil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excessively immersed in visual digital media in today's digital media era. It aimed to explore and manifest the positive aspects of audio media, which are unfamiliar to modern children and adolescent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udio drama programs created through podcast production positively affect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Furthermore, it sought to demonstrate the value of audio media as an educational tool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cosystem by providing new insights and addressing the imbalance caused by excessive use of visual media.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d the impact of audio drama programs produced via podcast production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0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 to 16, from alternative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30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e podcast production audio drama educa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of 30. After obtaining parental consent fo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5 to October 31, 2023, with weekly sessions lasting 70 minutes each, for a total of nine sessions. The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incorpora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tools and design involved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through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underwent pre-tests to ensure homogene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program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media use, and after the program, individual changes in media capability were measure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5.0, and the results were tested at significance levels of .001, .01, and .05.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Firstly, an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adjusting for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mmunication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the self-efficacy 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djusted for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Within the subdomains of self-efficacy, such as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The total scores fo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udio drama activities facilitated through podcast production positively impacted the communication abilities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ly, paired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o examine the pre-pos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even subdomains of communication skill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ctivities. Additionally, paired sample t-tests were also used to assess the pre-pos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from the pre-test to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difficulty, and all other subdomains. Fourthly, the results of a two-way ANOVA, based on high and low self-efficacy groups, showed that while the individual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podcast produc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 for communication skills (excluding the factor of overcoming stereotypical thinking),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ly,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odcast production audio drama classes, a study on media capability changes was conducte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It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media capabiliti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conducted for gender, a qualitative nominal variable,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 capabilities between genders. For age, a quantitative continuous variable,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media capabiliti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Sevent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efficacy and media capabilities showed a ver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and the subfactors of media capabilities (knowledge, analysis, appreciation, production),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and knowled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media-related skills. Eighth,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elf-efficacy and media capabilities revealed that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ubfactors of media capabilities (knowledge, analysis, appreciation, production) as well as overall media capabilities. Therefore, this demonstrates that self-efficacy can be a crucial factor in media-related activities and skills. Ninth,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each subfactor of self-efficacy on the subdomains of media capabilities revealed that self-regulation efficacy,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nhancing the analysis and appreciation aspects of media capabilities. Therefore, self-regulation efficacy plays a crucial role in media activities, particularly in improving the abilities of analysis and appreciation within media capabilities. Therefore, the audio drama programs created through podcast production discussed in this study have been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dditionally, the positive aspects of audio media have been shown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to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play a beneficial role in fostering creative and appropriate media production skills. This indicates that audio media holds potential as an educational tool in the digital media era.

more

목차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4

제2장. 이론적 배경7
제1절. 월터 옹(Walter Ong)의 구술성(Orality) 이론 7
제2절. PBL 프로젝트 이론 및 학습의 개념과정12
제3절. 팟캐스트를 활용한 오디오 극(劇) 19
1. 팟 캐스트(Podcast) 개념 및 특징19
2. 오디오, 라디오 극(劇)의 개념29
제4절.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34
1. 의사소통능력의 개념34
2. 자기효능감 개념39

제5절. 팟캐스트 제작을 활용한 오디오 극 교육 프로그램 실제 42
1. 수업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 내용42
제6절. 참여자 요구조사49
1. 팟캐스트 제작 활동 경험50
2. 매체 사용 경험 및 관심 51
3. 참여자의 학습 동기 54
4. 참여자의 학습활동 관련 사전지식 56

제3장. 연구 방법60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60
1. 연구모형60
2. 연구가설61
제2절. 연구대상63
제3절. 연구절차63
제4절. 연구 도구64
1. 의사소통능력 척도65
2. 자기효능감 척도66
제5절. 자료 분석 방법67

제4장. 연구결과 70
제1절.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70
제2절. 가설 검증71
1. 의사소통능력 공변인의 유의성 검증71
1.1. 의사소통능력 검증 결과72
2. 자기효능감 공변인의 유의성 검증74
2.1. 자기효능감 검증 결과75
3. 실험집단 내 검증 결과76
3.1. 의소사통능력 검증 결과 76
3.2. 자기효능감 검증 결과 78
4. 통제집단 내 검증 결과 79
4.1.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검증 결과79
5. 자기효능감 고-저 집단에 따른 이원분산분석 80
제3절. 개인별 미디어 능력 측정 결과 84
제4절. 참여자 교육 후기 소감문 및 인터뷰92

제5장. 결론 및 제언 103
제1절. 전체연구 결과 요약 및 결론103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109

참 고 문 헌 111

more